|

주제설교 교육설교 만화설교 생활설교 특별설교

[7실천] 41막 9;19-24 믿음이 없는 세대가 믿게 되는 이유

Loading the player...




41막 9;19-24 믿음이 없는 세대가 믿게 되는 이유_1 



2010.10.10. 주일오전 

가을은 수확의 계절입니다. 한 해의 모든 농사가 그 결실을 나타내고 한 해의 수고가 빛을 발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가을에는 추수를 하고 작물을 수확하며 실과를 거둬들이게 됩니다. 그러나 지난 번 추석에 들이닥친 커다란 비와 여름에 내린 큰 비는 조금만 지나면 수확을 하기로 한 많은 농부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습니다. 저는 TV를 통해 한 과일 재배 농장에서 비로 인해 떨어진 많은 과일을 보았습니다. 그 고비만 지나면 큰 수확이 되었을 텐데 많은 비로 인해 무참히 떨어져 버린 과일들은 주인의 마음이나 보는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하였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수확하지 못한 열매들의 안타까움은 단지 안타까움으로 그치지 않습니다. 이번의 배추파동도 다 밭작물에 비로 인해 큰 피해가 있었기 때문이고 그로 인한 결과를 온 국민이 겪게 된 것입니다. 무엇이든지 씨를 뿌렸으면 열매를 맺을 때 보람이 있고 유익이 있는 법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많은 사람들에게 열매가 없음으로 인해 커다란 슬픔이 되고 또한 커다란 괴로움이 따르게 됩니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앙생활을 시작하였다면 뭔가 열매가 맺혀야 합니다. 열매가 맺히지 않는다면 그간의 노력은 다 수포로 지나가 버립니다. 애써서 씨를 뿌리고 비료를 주고 병충해를 막아내고 정성을 기울였더라도 열매가 떨어져 버리면 열매가 맺히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처럼, 신앙도 열심히 노력할 때에 비로소 열매가 맺히게 됩니다. 교회를 나오고 예배를 드리고 성경공부를 하고 사역을 하고 전도를 하더라도 열매를 맺기 위해서가 아니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앙의 열매가 맺게 하려고 노력할 때에 비로소 열매가 맺힙니다.  

그런데 이 열매라는 것이 1년 노력하면 다 원하는 결실을 거두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사과를 얻기 위해서는 1년이 걸리지만 사과나무를 키우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기존의 사과 나무에서 접목된 새로운 사과나무는 열매를 맺는데 3년이 걸립니다. 하지만 종자에서부터 직접 자란 사과나무는 열매를 얻는데 13년이 걸립니다. 
이처럼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시간이 조금 걸리기도 하고 시간이 더 많이 걸리기도 합니다. 꾸준히 노력해서 그것을 얻고자 한다면 절대 포기하지 말고 계속 노력해야 하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과 우리 자신은 전혀 상황과 환경이 틀립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지 말고 열심히 부지런히 꾸준히 나아갈 때에 비로소 때가 되면 그 열매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스피노자는 이런 유명한 말을 하였습니다. 
‘내일 지구에 종말이 오더라도 나는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 
우리도 신앙생활에서 이런 자세로 이런 각오로 신앙의 열매가 맺히게 하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맺어야 하는 신앙의 열매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네 가지의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그 중 가장 기본적인 첫 번째 열매는 ‘믿음’입니다. 믿음이라는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믿음이란 하나님을 믿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살아계시고 이 세상을 창조하셨으며 그리고 우리를 심판하신다는 것을 믿는 것입니다. 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 걸리는 시간과 필요한 노력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믿음을 갖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 어떤 사람은 별로 시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기도 합니다. 평생을 신앙생활을 해도 믿음이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원래 의심이 아주 많아서 하나님을 믿게 되기가 천성적으로 어려운 경우입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시간이 흐르다 보면 믿음을 가지게 됩니다. 이것이 첫 번째 열매입니다. 여러분 자신이 이 믿음의 열매가 있는지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두 번째 열매는 ‘확신’입니다. 이 확신은 좀더 쉬운 말로 구원의 확신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죽으시고 우리를 위해 살아나셨다는 것을 확신하는 것입니다. 또한 예수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신 것처럼 자기 자신을 구원해 주실 것을 확신하는 마음입니다. 믿음 보다 좀더 개인적이고 믿음보다 더욱 구체적이며 믿음보다 더욱 관계적인 것이 바로 이 확신입니다. 단지 구원의 확신 뿐만 아니라 중생의 확신, 응답의 확신, 도우심의 확신, 등등 많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어서 필요한 모든 상호적인 친밀성이 바로 이 확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믿음과 확신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새로 면허증을 따고 운전을 하기 시작했다고 합시다. 그 사람이 운전을 잘 할 것이다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믿음입니다.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그 사람이 운전하는 차에 타겠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확신입니다. 그 확신에 모든 것을 거는 것입니다. 자기 생명까지도 거는 것이지요. 그래서 구원의 확신은 하나님을 믿음 보다 더욱 구체적입니다. 그 구원의 확신에 자기의 생명을 자기의 영혼을 걸 수 있는 것입니다. 오늘 죽어도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래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그는 구원의 확신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믿음이 있는 자가 가질 수 있는 것이 확신입니다. 믿음이 있을 때에 그 이후에 맺을 수 있는 열매가 바로 확신인 것입니다. 자, 그렇다면 여러분은 이 구원의 확신이 있습니까? 

세 번째 열매는 ‘충만’입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성령으로 충만한 것입니다. 믿음이 있고 확신이 있는 사람이 스스로를 더욱 정결케 하고 성령을 사모하다보면 성령께서는 그의 마음 속에 충만하게 임하십니다. 구원의 확신 만으로 평생을 살 수는 없습니다. 구원의 확신 만으로 모든 신앙생활을 다 완성했다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 다음 단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성령으로 충만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언제 성령의 충만을 필요로 하게 될까요? 그 때는 우리 마음 속에 감정이 북받쳐 오를 때입니다. 우리의 마음 속에 미움이나 분노나 절망이나 두려움 등이 넘쳐날 때 우리는 성령의 충만을 받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성령에 충만할 때에 우리의 감정보다 성령께서 더 커지시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이 변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감정에 휩싸여있던 마음이 결심으로 변화됩니다.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인내의 마음으로 변화됩니다. 자기 감정보다 성령의 충만함이 더 커지기 때문에 감정이 변해버리는 것입니다. 

저는 운전면허를 딴 지 7년 뒤에 처음으로 사고를 내보았습니다. 그때는 교회전도사로 빨리 새벽기도를 가야 하겠다는 마음에 조급하게 운전을 하다가 골목길에서 사고를 내고 말았습니다. 그때에 저는 감정에 너무 휩싸여 있다가 사고를 내었고 사고를 낸 뒤에서도 한동안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바로 이렇게 신앙에서도 감정에 휩싸여 있을 때가 있습니다. 그때가 바로 성령의 충만이 필요한 때입니다. 여러분이 그런 경험을 하셨다면 빨리 성령의 충만을 받으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신앙에 커다란 어려움이 찾아오게 될 지도 모릅니다. 

네 번째 열매는 이 모든 열매가 다 이루어진 다음에 이루어질 수 있는 최종적인 열매입니다. 바로 ‘감당’이라는 것입니다. 감당이라는 말을 생각해 보십시오. 국어사전에 나오는 뜻은 ‘일따위를 맡아서 능히 해냄’, ‘능히 견디어 냄’ 입니다. 견뎌내지 못하면 감당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능히 해내지 못하면 역시 감당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신앙에서 감당이라는 열매는 믿음이 있는 사람이 확신을 갖게 되고 충만을 받은 다음에서야 할 수 있는 모든 어려움을 견디어 내는 것이 바로 감당입니다. 믿음이 없다면 확신이 없다면 충만이 없다면 이 감당은 열매를 맺을 수가 없습니다. 감당하지 못하고 포기해 버릴 것입니다. 감당하지 못하고 도망가 버릴 것입니다. 
이러한 여러가지 수준의 신앙의 열매를 교회생활에 적용한다면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사명감당에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전도’입니다. 전도의 책임을 맡아서 그것을 이겨 낸다면 그리고 능히 해낸다면 그것이 진정한 ‘사명감당’이 될 것입니다. ‘감당’이라는 열매를 맺을 때에 그 열매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일은 ‘전도’입니다. 사명을 감당하려고 할 때에만 전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충만’이라는 열매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사역’입니다. 사역을 하다보면 이런 저런 감정이 많이 생깁니다. 그런 감정을 극복하기 위해서 성령충만이 필요한 것입니다. 
‘확신’에 알맞는 일은 ‘성경공부’입니다. 성경을 공부하다보면 예수님과 개인적인 친밀감이 생겨납니다. 그래서 성경을 공부하면서 더욱 확신이 커져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믿음’에 알맞는 일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예배’입니다. 예배를 드리는 일로 믿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 믿음이 있는 사람은 예배를 드릴 것입니다. 앞으로 예배를 드리겠다는 사람은 앞으로 믿음을 가질 것이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믿음을 통해 예배를 드리고, 확신을 통해 성경공부를 하고, 충만을 통해 사역을 하고, 감당을 통해 전도를 합니다. 각각의 교회활동 속에 필요한 신앙의 열매가 있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우리 교회의 수준에서 가장 필요한 열매가 무엇일까요? 여러분은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열매, 가장 있어야 할 열매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것은 ‘믿음’입니다. 우리에게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우리에게 정말로 있어야 하는 것은 ‘확신’도 아니고 ‘충만’도 아니고 ‘감당’도 아닙니다.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믿음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열매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믿음이 있어야 예배를 잘 드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믿음이 있어야 예배를 잘 드리게 된다는 것에 대해서는 히브리서에서 잘 말하고 있습니다. 
“히11:6 믿음이 없이는 기쁘시게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 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찌니라” 

하나님께 나아와 예배하는 자는 하나님이 계신 것과 자기를 찾는 자에게 상 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하는데 그것을 믿지 못하니까 예배를 온전히 드리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이 계신 것을 믿지 못하고 자기를 찾는 자에게 상 주시는 분이심을 믿지 못한다면 예배시간에 앉아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예배를 드리는 것이 아니라 예배시간을 보내는 것이지요. 때로는 지각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잠을 자기도 하고 때로는 공상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낙서를 하기도 하고 때로는 오락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장난을 치기도 하고. 이 모든 것은 그냥 시간을 보내는 것이지 예배를 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서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이 만약 다른 교회에 갔는데 거기서는 예배분위기가 너무 좋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뭔가 수준이 틀리다는 것을 직감할 것입니다. 한 사람도 예배시간에 늦는 사람이 없고, 한 사람도 조는 사람이 없고, 한 사람도 예배드리는 일 외에 딴 짓을 하는 사람이 없다면 그 교회의 수준은 상당하리라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사실 매주 성경공부를 하는 사람들이고 매일 철야를 하며 기도를 하는 사람들이고 날마다 모여 전도를 나가는 사람들일 것입니다. 그러면 그런 사람들 속에서 우리의 수준은 너무 미약하다는 것을 알게 되겠지요. 어쩌면 그렇게 신앙적인 열매의 중요성을 깨닫는 것이 더 믿음을 갖기 위해서 더 확신을 갖기 위해서 더 충만을 받기 위해서 더 감당하기 위해서 노력하게 만드는 동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 교회가 부럽지 않으십니까? 우리도 그런 교회를 만듭시다. 전반적으로 더 수준을 향상시켜야 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수준이 ‘믿음’을 가져야 하는 단계에 있음을 알 때에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이 믿음을 가지게 되는 것일까요? 어떻게 해야 우리는 예배를 드릴 때에 하나님께 나아갈 때에 그가 살아계신 것과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주시는 분이심을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요? 

우리가 믿음을 갖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사과라는 열매가 맺히기 위해서는 사과나무를 심고 가꾸는 과정이 필요하듯이 믿음이라는 열매가 맺히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바로 내가 그것을 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믿음의 필요성을 깨닫고 그 믿음이 생기기를 원하는 과정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믿음이란 그 어떤 증거도 없을 때에 믿는 것입니다. 볼 수 없고 들을 수 없고 만질 수 없을 때에 믿는 것이 믿음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을 위해 자꾸만 어떤 증거를 내놓으라고 한다면 결코 믿을 수 없습니다. 이보다 더 선행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것은 내가 믿고 싶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믿고 싶어하지 않는다면 그 어떤 것도 믿을 수 없습니다. 믿고 싶을 때 그 때가 바로 믿음을 갖게 되는 때입니다. 

마가복음 9장에서 우리는 믿음이 없음을 도와달라고 부르짖는 한 아버지를 만나게 됩니다. 그 아버지는 예수님께 부르짖습니다. 
“24 곧 그 아이의 아비가 소리를 질러 가로되 내가 믿나이다 나의 믿음 없는 것을 도와 주소서 하더라” 
그는 믿고 싶다고 말합니다. 지금은 믿음이 없지만 앞으로 믿겠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믿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간구합니다. 그는 왜 그렇게 절박하게 믿음을 구하고 있을까요? 지금은 믿음이 없는데 왜 앞으로는 믿음을 가져보겠다고 부르짖는 것일까요? 
그에게 문제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해결해야하는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그는 믿음을 가지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 문제가 없었을 때에 그는 믿음과는 별로 관계가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자식이 귀신들려 거품을 흘리며 이를 갈며 파리하여 가는 모습을 볼 때 어떻게 해서든지 그 자식을 고쳐보겠다고 나선 사람이었습니다. 예수님께 나아왔을 때 예수님께서 ‘믿는 자에게는 능치 못할 일이 없느니라’고 말씀해주시니까 그제서야 믿음을 갖기로 결심하는 것입니다. 믿음을 가지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들에게 믿음이 없다면 그 이유는 뭔가 바라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 대해서 아무 것도 원하는 것이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문제를 해결해 주시기를 바라는 것도 아니고 하나님께서 어떤 목표를 이루어주실 것이라고 기대하지도 않습니다. 하나님께 가져나오는 문제도 없고 목표도 없습니다. 그러니까 믿음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제 믿음을 가져야 한다면 우리는 우리가 삶의 영역 속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와 목표를 깨달아야 합니다. 그것을 의식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가지고 주님께 나와서 그것을 도와달라고 말해야 하는 것입니다. 
조금 거슬러 올라가 22절에서는 바로 그렇게 자신의 문제를 가지고 나아오는 아버지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2 귀신이 저를 죽이려고 불과 물에 자주 던졌나이다 그러나 무엇을 하실 수 있거든 우리를 불쌍히 여기사 도와 주옵소서” 
그의 모습에 믿음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믿음을 가질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책망하시면서 재차 믿음을 가지라고 말씀해 주셨을 때 믿음을 가질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믿음을 갖게 되어서 이루어진 일은 무엇일까요? 예수님을 통해 자신의 아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믿음을 갖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한번 들어보십시오. 그들이 어떻게 믿음을 가지게 되었습니까? 본인은 믿고 싶지 않았는데 억지로 믿음을 가지게 되었나요?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믿음이란 가지고 싶어야만 가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결코 강요될 수도 없고 지배될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반드시 어떤 문제나 목표가 있을 때에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 필요한 것입니다. 
문제가 생겨서 믿음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목표가 생길 때에 믿음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목표 없이 살아가는 우리에게 큰 목표를 두시는 분은 누구실까요? 그분은 하나님이십니다. 반면 큰 목표가 있었지만 그냥 그 목표를 포기해 버리고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그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입니다. 이전에는 믿고 있었을지라도 지금 현재는 믿고 있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니까 자포자기하면서 믿음없이 소망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믿음이 있다면 그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또한 하나님 안에서 그것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사람입니다. 그럴 때 그 목표를 위해 열심히 살아가게 됩니다. 

우리는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서 이러한 믿음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의 자녀를 학원에 보내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그럴 때 부모는 자녀들이 학원에 가서 열심히 배우기를 원합니다. 아이들은 피아노를 배우고 싶으면 피아노 학원을 다닙니다. 태권도를 배우고 싶으면 태권도 학원을 다닙니다. 영어나 수학을 배우고 싶으면 역시 영어나 수학 학원에 다닙니다. 학생들은 학원을 통해 그 내용을 배우면 유익이 있으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부모들도 그러한 믿음이 있습니다. 그래서 배움을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 믿음대로 그는 원하는 내용을 배우고 그로 인해서 상당한 실력을 가지게 됩니다. 부모도 그런 수고에 대해서 후회하지 않습니다. 
병이 들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스스로 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병원에 가서 병을 고치기를 원합니다. 병원에 가면 병이 나으리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에 그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기 자신이 아프거나 혹은 자녀가 아프게 되면 얼른 병원으로 달려가서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분명히 병원에 가서 병이 나으리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신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할 수 없는 문제나 한계에 이르렀을 때 우리는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아들을 고쳐달라고 예수님께 의지했던 이 아버지처럼 우리도 우리가 우리의 힘으로 할 수 없을 때에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그리고 할 수 있으면 하시고 할 수 없으면 마십시오라는 막연함이 아니라 믿음으로 능치 못할 일이 없을 것이라고 굳게 믿는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입니다. 그럴 때 믿음이 생깁니다. 이것이 믿음을 가지게 되는 과정입니다. 

이것은 결코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우리들이 믿음을 갖기를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도와주십니다. 마가복음의 말씀 속에서도 귀신들린 아들의 아버지가 믿음을 갖기를 원하셨습니다. 19절 말씀을 보십시오. 
“19 대답하여 가라사대 믿음이 없는 세대여 내가 얼마나 너희와 함께 있으며 얼마나 너희를 참으리요 그를 내게로 데려오라 하시매” 

예수님께서는 믿음이 없는 세대를 안타깝게 여기셨습니다. 여전히 믿음이 없이 하나님을 불신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을 긍휼하게 여기십니다. 그리고 바로 그들이 자신에게로 나아오기를 원하십니다. 뿐만 아닙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렇게 믿음없이 살아온 삶이 얼마나 되는가를 물어보십니다. 21절입니다. 
“21 예수께서 그 아비에게 물으시되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느냐 하시니 가로되 어릴 때부터니이다”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 아들은 귀신들림으로 인해 고통받아왔고 그 아버지는 귀신들린 아들때문에 괴로움을 당해왔습니다. 그 악순환을 끊을 시점은 바로 예수님 앞에 나아왔을 그 때입니다. 하지만 그 놀라운 가능성과 변화의 기회에도 불구하고 이 아버지는 여전히 믿음이 없습니다. 그래서 ‘무엇을 하실 수 있거든 우리를 불쌍히 여기서 도와주옵소서’라고 말할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말에 대해서 예수님이 하신 대답은 이것입니다. 
“23 예수께서 이르시되 할 수 있거든이 무슨 말이냐 믿는 자에게는 능치 못할 일이 없느니라 하시니” 

예수님은 할 수 있으면 하고 할 수 없으면 관두시고 를 원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의심 반 불신 반을 받아들이시지 않습니다. 오직 온전한 믿음 만을 원하십니다. 그리고 그렇게 믿는 자에게는 못할 일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십니다. 무엇에 대한 믿음입니까? 하나님에 대한 믿음입니다. 그러니 누가 능치 못할 일이 없다는 것인가요? 하나님이 능치 못할 일이 없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자에게는 하나님이 모든 일을 행하십니다. 그 아버지가 행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행하시는 것입니다. 믿고 따르는 자에게 하나님은 일을 행하시고 그것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주시고 목표를 이루게 하십니다.  
그 하나님을 믿어보십시오. 그래서 여러분 삶에 놀라운 일을 경험해 보십시오. 하나님께서는 여러분이 하나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를 목표를 이루기를 원하십니다. 그러지 못한 오랫동안의 삶을 안타깝게 여기십니다. 이제 하나님을 믿고 온전한 믿음으로 놀라운 일을 경험하게 되고 그것을 통해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경험하는 우리 모두가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개요  {4서신서} <1적용> [1영역-개인]~[0복음-창조]~[5은혜-능력] 
1. 씨를 뿌리는 사람들이 열매를 구하는 것처럼 신앙생활에는 열매가 필요합니다. 
2. 성도들이 가져야 하는 가장 우선적인 열매는 하나님의 계획과 능력을 믿는 것입니다. 
3.  우리가 믿음을 갖게 되는 상황은 하나님을 통해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이루려고 할 때입니다. 
4. 하나님은 우리가 믿음을 가지고 그분의 능력을 의지하게 되기를 원하십니다.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95 8사역
43요 1; 9-12 밧모라 하는 섬에 있었더니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10 21 10765
94 7실천
40마 2; 1-2 박사들이 온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10 26 10293
93 8사역
42눅 1; 67-79 주님이 오신 의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10 28 10897
92 1영역
42눅 1; 1-7 말씀의 목격자되고 일군 된 자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04 22 10532
91 82연합
39말 3; 1-3 내가 보내는 사자와 주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2 15 9236
90 5은혜
39말 4; 2-6 내 이름을 경외하는 자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2 25 11213
89 7실천
44행27; 33-44 감사하고 먹은 사람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2 24 9703
88 6결심
58히 3; 7-14 너희 마음을 강퍅케 하지 말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08 20 10380
87 82연합
11왕상 3; 4-8 종은 작은 아이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16 19 9375
86 5은혜
11왕상 3; 9-15 지혜로운 마음을 주옵소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16 20 10285
85 82연합
1창18; 32-33 멸망을 막기 위한 사람의 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9 16 9526
84 5은혜
1창19; 12-16 세 가지 미스테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9 22 10742
83 82연합
40마25; 24-30 악하고 게을렀던 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2 18 8684
82 5은혜
40마25; 1-13 어리석은 여자들이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2 24 10006
81 82연합
58히12; 15-17 두려워해야 하는 것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26 15 8478
80 5은혜
58히12; 1-2 예수를 바라보자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26 26 11181
79 3감정
12왕하 4; 16-23 하나님의 사람에게 달려가리이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21 20 9911
78 82연합
44행10; 17-23 내가 저희를 보내었느니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09 18 9203
77 8사역
7삿 7; 2-8 9천7백명을 돌려보냄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09 22 10827
76 3감정
11왕상19; 9-14 저희가 내 생명을 취하려 하나이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03 19 9895
75 82연합
44행 4; 5-12 병자에 대해서 질문하면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21 15 8865
74 5은혜
44행14; 8-15 앉은뱅이를 일으킨 능력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21 20 10234
73 82연합
44행24; 24-27 무엇을 바라고 있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08 13 8955
72 5은혜
44행 1; 1-5 데오빌로에게 보내는 편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08 27 10845
71 82연합
43요21; 12-15 세번째로 나타나신 것이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24 18 9064
70 8사역
43요20; 19-23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24 24 10731
69 82연합
42눅22; 56-62 밖에 나가서 통곡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17 16 8604
68 8사역
42눅22; 24-34 내가 너를 위하여 기도하였노니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17 23 10436
67 8사역
37학 1; 1-6 여호와의 전을 건축할 시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15 26 10431
66 82연합
49엡 4; 11-15 그에게까지 자랄찌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08 16 9776
65 5은혜
42눅15;25-32 내것이 다 네것이로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08 20 10823
64 5은혜
40마20; 20-28 가라사대 무엇을 원하느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1 26 10044
63 82연합
40마 2; 19-23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04 18 8886
62 35죄책
40마 2; 1-12 누가 예수님을 만났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29 31 10310
61 5은혜
43요11; 32-37 예수님이 오신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9 28 9882
60 82연합
43요11: 38-44 다시 살리시는 예수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9 21 8652
59 82연합
40마 4; 5-8 시험은 끝나지 않는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2 19 9216
58 5은혜
40마 4; 1-4 시험을 이기신 예수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2 27 10415
57 5은혜
44행28; 1-6 멜리데섬의 기적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19 22 11454
56 5은혜
1창22; 7-8 두사람이 함께 나아가서, 음성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15 21 7343
55 82연합
49엡 5; 28-30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보양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15 17 8548
54 5은혜
49엡 5; 25-27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15 24 9877
53 82연합
40마10; 5-13 제자들을 내어 보내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01 21 8935
52 5은혜
42눅11; 42 신앙의 균형을 이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01 32 10016
51 82연합
44행12; 13-16 문을 열어보고 놀라는 사람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26 19 8675
50 5은혜
43요13; 1-3 끝까지 사랑하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26 28 10100
49 82연합
45롬 1; 32 악한 자를 옳다 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15 18 8366
48 22합의
42눅22; 7-13 어디서 예비하리이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15 28 9502
47 82연합
46고전10; 7-14 우상숭배를 피하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08 14 9521
46 5은혜
45롬 1; 28 마음에 하나님을 두는 것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08 22 9740
45 82연합
45롬 1; 18-23 하나님의 능력과 신성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03 18 9627
44 5은혜
48갈 5; 7-12 적은 누룩의 위험성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03 28 9632
43 35죄책
48갈 3; 10-14 저주 아래 있는 자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26 20 8962
42 82연합
45롬 1; 1-6 부르심을 입은 자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26 17 9246
41 5은혜
12왕하 4:27-30 수넴여인의 괴로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20 25 9030
40 82연합
61벧후 1; 5-9 죄를 깨끗케 하심을 잊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12 17 8956
39 5은혜
48갈 1; 1-5 자기 몸을 드리신 그리스도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12 25 9679
38 5은혜
66계 3; 14-22 차든지 더웁든지 하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28 21 10205
37 5은혜
66계14; 1-5 십 사만 사천의 성도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28 25 10512
36 5은혜
66계 2; 1-7 당신의 처음 사랑은 어디있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28 23 11560
35 82연합
44행 8; 26-31 지도하는 사람이 없으니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25 19 8720
34 5은혜
66계 2; 12-17 좌우에 날선 검을 가진 분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25 25 11848
33 7실천
65유 1; 20-21 믿음위에 자기를 건축하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25 25 11240
32 82연합
40마20; 6-7 포도원에 들어가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14 17 8825
31 85교제
1창30; 14 맥추절에 얻은 합환채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7 14 8375
30 7실천
6수24; 13-15 섬길 자를 택하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7 19 9866
29 6결심
2출23; 14-16 맥추절을 지키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7 22 9926
28 85교제
10삼하 7; 18-23 내집은 무엇이관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25 16 9042
27 8사역
44행 6; 3-7 직분자를 세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4-21 27 10000
26 85교제
20잠11; 12-17 의인이 조심해야 할 것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4-21 15 9359
25 7실천
42눅19; 12-27 왕 됨을 원치않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4-21 21 9480
24 5은혜
42눅 2; 10-12 좋은 소식의 표적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6 9778
23 85교제
42눅 2; 13-14 허다한 천군의 찬송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17 8796
22 5은혜
42눅 1; 31-35 어찌 이일이 있으리이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6 9468
21 85교제
40마22; 8-14 청함을 받은 자는 많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3 9605
20 5은혜
40마 2; 13-15 내가 네게 이르기까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3 9468
19 85교제
40마 4; 23-25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2 8685
18 4욕구
40마 2; 1-6 우리가 기대하는 소망이 무엇인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5 8963
17 85교제
43요13; 21-30 네 하는 일을 속히 하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0 9143
16 5은혜
10삼하 7; 25-29 영원히 복을 받게 하옵소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05 22 9050
15 85교제
42눅 5; 3-11 주여 나를 떠나소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05 17 8879
14 6결심
10삼하 6; 6-15 진정한 감사의 기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04 21 9180
13 85교제
40마 4; 18-22 나를 따라 오너라 그리하면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04 19 9410
12 3감정
42눅24; 32-36 마음이 뜨거워진 그 다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26 29 9690
11 2유형
43요 6; 5-13 어떻게 모든 필요를 채울수 있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26 24 9223
10 85교제
45롬10; 9-10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시인하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26 15 10213
9 5은혜
44행 1; 1-8 기억하시는 하나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19 25 9618
8 85교제
48갈 4; 4-7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자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19 20 9170
7 8사역
46고전 3; 4-9 하나님의 동역자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16 25 9248
6 85교제
1창 1; 1-5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16 18 8970
5 85교제
46고전12; 22-27 약하고 부족한 지체의 중요성 담임목사이름으로 검색 05-11-02 20 8145
4 4욕구
43요 20; 24-29 함께 있으나 믿음이 없는 자 관리자이름으로 검색 05-11-02 24 8925
3 85교제
58히10, 서로 돌아보며 격려하자 담임목사이름으로 검색 05-10-20 17 7807
2 85교제
48갈 4; 4-7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자들 담임목사이름으로 검색 05-10-20 17 8896
1 8사역
41막 3; 13-19 새로운 일을 위한 조직 담임목사이름으로 검색 05-10-19 28 7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