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4용서] 28호 3; 1-5 여호와를 경외하여 그 은총으로 나아감



Loading the player...


.



 

  

283; 1-5 여호와를 경외하여 그 은총으로 나아감_1

  

 

  

2022. 5. 29. . 주일오전.

  

 

  

*개요: 호세아에서의 신앙의 목표, 23선악, 43쾌락-53용서, 2관점적해석

  

 

  

[]3:1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이스라엘 자손이 다른 신을 섬기고 건포도 과자를 즐길지라도 여호와가 그들을 사랑하나니 너는 또 가서 타인의 사랑을 받아 음녀가 된 그 여자를 사랑하라 하시기로

  

[]3:2    내가 은 열다섯 개와 보리 한 호멜 반으로 나를 위하여 그를 사고

  

[]3:3    그에게 이르기를 너는 많은 날 동안 나와 함께 지내고 음행하지 말며 다른 남자를 따르지 말라 나도 네게 그리하리라 하였노라

  

[]3:4    이스라엘 자손들이 많은 날 동안 왕도 없고 지도자도 없고 제사도 없고 주상도 없고 에봇도 없고 드라빔도 없이 지내다가

  

[]3:5    그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와서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와 그들의 왕 다윗을 찾고 마지막 날에는 여호와를 경외하므로 여호와와 그의 은총으로 나아가리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사랑하심을 보면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시는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 사랑의 놀라우심과 크심을 생각하면서 하나님께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 사랑의 한계를 의심하고 시험하면서 더욱 자기 사랑으로 나아가면 안 됩니다. 그것은 죄악된 것이고 악한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배워도 계속해서 하나님의 더 큰 사랑을 요구합니다. 진짜 사랑하시는 것이었다면 그들에 대한 한도 끝도 없는 무한한 사랑을 제공하셨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선을 넘는 생각이고 그 다음에는 죄가 나타납니다. 하나님은 공의로우신 분이시고 선하신 분이시기 때문에 그 죄에 연합하는 생각에 대해서는 거부하십니다. 그러니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되겠고 우리는 계속해서 하나님의 선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그 선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 선은 무조건 선이 아니면 거부하는 선이 아닙니다. 과거에 악이 있었어도 선으로 나아가게 하시는 선이며 현재 악이 있어도 선으로 나아가게 하십니다. 또한 앞으로 악으로 빠진다 하더라도 다시 선으로 이끌어 주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십니다. 그리고 그렇게 선을 이루고자 하는 하나님의 뜻이 바로 사랑입니다. 우리는 이스라엘에 대해서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을 발견합니다.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이 잘 나타난 예가 바로 고멜에 대한 호세아의 사랑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보이시고자 호세아를 통해서 고멜을 사랑하게 하셨습니다. 그 사랑은 음란이니 우상숭배나 죄 가운데 있던 고멜을 사랑하여 그녀를 자신의 아내로 맞이하고 사랑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뿐만 아닙니다. 그 고멜이 그러한 사랑에도 불구하고 다시 음란이나 우상숭배나 죄악에 빠졌을 때에도 계속해서 그녀를 사랑하는 것이었습니다. 오늘 말씀에는 그렇게 계속해서 고멜을 사랑하는 호세아의 모습이 나오고 그 속에서 이스라엘을 계속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3:1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이스라엘 자손이 다른 신을 섬기고 건포도 과자를 즐길지라도 여호와가 그들을 사랑하나니 너는 또 가서 타인의 사랑을 받아 음녀가 된 그 여자를 사랑하라 하시기로

  

[]3:2    내가 은 열다섯 개와 보리 한 호멜 반으로 나를 위하여 그를 사고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다른 신을 섬기고 우상의 건포도 과자를 즐기더라도 다시 그들을 사랑하심을 보이고자 하셨습니다. 그래서 호세아로 하여금 타인의 사랑을 받아 음녀가 된 그 여자인 고멜을 사랑하라고 하셨습니다. 이전에 호세아는 음란한 여인이었던 고멜을 아내로 맞이하라고 하셔서 그렇게 하였고 그 사이에서 두 아들과 한 명의 딸을 얻어서 가정을 잘 이루었는데 그 고멜이 어찌된 이유에서인지 타인의 사랑을 받아 음녀가 되었고 은 열다섯 개와 보리 한 호멜 반으로 그를 위해서 내어 놓아야만 다시 데려올 수 있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그래도 호세아는 그 아내인 고멜을 위해서 그 돈을 지불하면서 그녀를 다시 데려왔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한 남자의 아내이자 아이들의 어머니가 이렇게 될 수 있는가를 생각하지만 실제 이 시대의 삶 속에서도 그런 일들을 볼 수 있습니다. 남편이나 아내가 빚을 많이 지고 빚더미에 오를 수 있습니다. 그 빚의 올무에서 꺼내서 다시 자유하게 하려면 그 빚을 갚아 주어야만 합니다. 그럴 때 희생과 용서의 사랑이 필요합니다. 아들이나 딸이 빚을 지거나 사고를 치거나 문제를 일으켰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돈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났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순순히 자녀를 위해 대출금이나 합의금이나 보석금이나 배상금을 내주고 다시 용서할 수 있겠습니까?

  

 

  

선을 더욱 이루기 위해서 학비를 대주고 치료비를 대주고 사업자금을 대주는 문제가 아닙니다. 악이 일어났고 그 악을 해결하기 위해서 희생하고 용서해서 다시 가족으로 받아주는 일이 과연 가능하겠느냐는 것입니다. 각 사람의 생각과 반응과 입장은 전부 다르겠지만 하나님은 그럴 때 그 악을 해결하기 위해서 희생하시고 용서하셨습니다. 왜냐하면 그 가족을 사랑하셨기 때문입니다. 그 가족이 가족으로서 다시 선을 이루게 되시기를 원하셨습니다. 그 선을 이룰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하나님은 하실 수 있는 최선의 일을 다 이루셨습니다. 그것이 바로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이며 고멜에 대한 호세아의 사랑이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을 생각할 때 그 사랑에 동참할 수 있는 많은 기회들이 있습니다. 가정은 바로 그러한 기회들이 넘쳐납니다. 앞서 살펴본 가정의 문제들은 아주 극단적인 경우가 최악의 상황으로 나타난 것 뿐이지 그보다 비교할 수 없이 작고 사소한 일들은 삶 속에서 수없이 많이 일어납니다. 잠을 깨운다든지 시끄럽게 한다든지 방문을 세게 닫았다든지 물건을 떨어뜨려서 깨뜨렸다든지 하는 자신의 기준이나 평안이나 분위기를 깨트리는 일들이 가정에서 일어납니다. 시간이 지나서 더 많은 활동이 생기고 더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다 보면 그런 일들은 부지기수로 일어납니다. 하지만 그럴 때 사람들은 하나님의 사랑을 생각하지 못하고 분노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별일없이 지나가거나 꾹 참으면서 시간을 보내는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 마음 한 구석에는 가능한 멀리 지내고 각자 지내고 싶은 바램이 생겨납니다. 언젠가는 이루어질 가정의 분리를 지금부터 간절히 기대하는 것입니다. 정말 때가 되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가정은 분리될 것입니다. 부부는 한쪽이 먼저 세상을 떠나고 자녀는 부모의 사망을 경험하고 부모는 자녀의 사망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 때가 되기 전까지 우리는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사랑은 어떤 것이었는가를 알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관계의 분리나 종결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희생과 용서로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호세아는 고멜을 위해서 그 당시 노예 한 사람의 가치에 해당하는 은 열다섯 개와 보리 한 호멜 반을 주고 고멜을 사서 다시 데려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말했습니다.

  

“[]3:3  그에게 이르기를 너는 많은 날 동안 나와 함께 지내고 음행하지 말며 다른 남자를 따르지 말라 나도 네게 그리하리라 하였노라

  

앞으로는 나와 함께 지내고 음행하지 않고 다른 남자를 따르지 말라고 하고 나도 네게 그리하리라고 하였습니다. 희생했을 뿐만 아니라 용서했습니다. 그래서 온전한 사랑을 나타냈습니다. 그것은 그대로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줍니다. 죄에 빠진 이스라엘을 값을 주고 사신 다음에 그들을 자신의 백성으로 삼으시는 하나님의 사랑이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우리가 만약 그 하나님의 사랑을 따른다면 우리가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 우리 자신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이 바로 이런 것이었구나 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그 사랑을 아는 것은 중요한 일일까요? 그 사랑의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일까요? 당연합니다. 그 놀라운 희생과 용서의 은혜가 우리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선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입니다. 그 기회를 통해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되는 것이 너무나 중요한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에 쉽게 감화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반대로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에도 전혀 감동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런 경험이 너무 많거나 혹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 경험을 떠올리기가 쉬운 사람들은 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태어나서 성장하면서 잘못을 안 할 수가 없으니 악을 행할 기회는 많지만 그럴 때 선으로 이끌어줄 기회가 없다면 마음은 자연히 강퍅해집니다. 혹은 선으로 이끌어주는 기회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강퍅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그러면 타고난 심성과 성품이 악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이든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고 그 사랑을 깨달을 수 있다면 전혀 다른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것은 희생하고 용서하는 마음입니다. 그 희생과 용서가 있을 때에 하나님의 희생과 용서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마음의 수준과 인간의 마음의 수준이 맞을 때에 비로소 진정한 믿음이 생겨납니다. 그것이 되는 사람이 너무 쉽게 되지만 그것이 안 되는 사람은 너무나 어렵습니다. 그렇게 살아본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제 그 하나님의 사랑으로 살아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럴 때 계속해서 내가 하나님의 사랑 속에서 살아가며 나의 가정이 하나님의 사랑 속에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천국이라는 곳이 하나님의 나라라는 곳에 가정의 해체와 분리가 이루어지는 곳이지만 그런 상태를 간절히 바라는 곳이라면 얼마나 안타까운 일입니까? 의절한 가족이나 평생 원수가 된 가족을 다시 만나는 곳이 천국이 아닙니다. 가족과의 만남이 기쁘고 감사한 곳이 천국입니다. 안타깝게 헤어진 부부가 다시 만나고 슬프게 헤어졌던 부모 자녀가 다시 만날 수 있는 곳이 바로 천국입니다. 그런 천국을 사모한다면 이미 희생과 용서로 관계가 정리되어야 합니다. 가정은 하나님의 사랑을 실현하는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그것을 우리에게 보여주십니다. 4,5절을 보십시오.

  

“[]3:4  이스라엘 자손들이 많은 날 동안 왕도 없고 지도자도 없고 제사도 없고 주상도 없고 에봇도 없고 드라빔도 없이 지내다가

  

[]3:5    그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와서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와 그들의 왕 다윗을 찾고 마지막 날에는 여호와를 경외하므로 여호와와 그의 은총으로 나아가리라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가정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여주시고 우리는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야 하는지를 알게 됩니다. 여호와를 경외할 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던 우리들이 그분의 방법을 따르게 되고 그럴 때 여호와와 그 은총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그것이 우리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호세아는 고멜을 사랑했고 그들은 다시 하나님의 사랑으로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그렇게 사랑하셨고 그 사랑을 우리에게 보여주셨습니다. 그 사랑을 기억하면서 우리가 우리의 가정을 사랑할 때 희생하고 용서할 수 있습니다. 그 사랑으로 가족을 대할 때 우리의 삶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나며 우리 가족들은 하나님의 사랑이 무엇인지를 말로가 아니라 삶으로 잘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는 것의 가치입니다. 하나님은 바로 그것을 우리가 누릴 수 있도록 오늘 말씀 속에서 우리에게 알려주셨습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를 잘 기억하고 그 사랑 속에서 가정을 섬기며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며 사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구성         

  

1. 하나님은 이스라엘에 대한 사랑을 통해서 우리에 대한 사랑을 나타내신다.

  

2. 그 사랑은 악에 대한 희생과 용서 속에서 선을 이루고자 하시는 사랑이었다.

  

3. 우리는 하나님께서 사랑하셨던 것처럼 우리의 가정을 사랑할 수 있다.

  

4. 우리의 가정이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며 그 은혜로 살아가는 성도가 되자.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97 55동행
25애 1; 6-10 이전과 나중을 생각하지 않는 어리석음_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12 2 4929
696 53희생
25애 1; 1-5 이스라엘의 심판에 대한 슬픔의 마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05 0 4763
695 53희생
24렘 2; 1-5 하나님의 마음을 깨달은 예레미야의 마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29 1 5672
694 55동행
24렘 1; 17-19 그들이 너를 이기지 못하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22 1 5216
693 51계획
24렘 1; 13-16 기울어진 끓는 가마의 의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16 3 5402
692 52능력
24렘 1; 8-12 살구나무 가지를 보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8 4 5392
691 52능력
24렘 1; 1-7 우리를 알고 성별하여 세우시는 분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1 1 5467
690 52능력
45롬 1; 14-19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러야 하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5 1 6020
689 52능력
45롬 1; 9-13 예수님이 우리에게 오시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8 1 5836
688 51계획
45롬 1; 5-8 그리스도의 소유로 부르심을 받은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1 2 5942
687 52능력
45롬 1; 1-4 아들에 관해서 말할 것 같으면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04 1 5958
686 44존경
44행 1; 21-26 봉사의 직무를 대신할 자를 세워나가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7 5 5862
685 46지배
44행 1; 12-17 다 거기 있게 된 것에 대한 감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0 2 5584
684 42편안
44행 1; 6-11 미래에 대한 감사를 준비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3 3 5830
683 42편안
44행 1; 1-5 지금까지의 가르치심을 감사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3 5726
682 44존경
43요 1; 25-29 너는 어찌하여 세례를 베푸느냐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30 3 5454
681 45인정
43요 1; 17-22 너는 네게 대하여 무엇이라 하느냐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4 5771
680 45인정
43요 1; 12-16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이 왜 커다란 권세인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6 4 5931
679 44존경
43요 1; 6-11 사람들은 알지 못하였지만 계속 빛을 증거하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9 3 5860
678 44존경
43요 1; 1-5 어두움이 빛을 깨닫지 못하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4 5425
677 45인정
42눅 1; 30-38 말씀대로 될 것을 믿을 수 있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3 6107
676 46지배
42눅 1; 21-28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세상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8 3 6212
675 46지배
42눅 1; 13-20 주님의 뜻을 받아들이는 때가 언제인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1 3 6334
674 42편안
42눅 1; 1-11 신앙의 본질은 경험인가, 이해인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3 6138
673 41유익
41막 1; 40-45 왜 한 사람이 말하지 못하게 하셨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8 4 6286
672 46지배
41막 1; 21-34 순종이 하나님 나라의 본질인 이유가 무엇인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4 6689
671 45인정
41막 1; 16-20 부르심에 순종하여 따라가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2 6396
670 43쾌락
41막 1; 9-15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는 의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7 4 6079
669 43쾌락
41막 1; 1-8 어떻게 주의 길을 따를 수 있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31 3 6748
668 41유익
40마 2; 13-18 하나님께서 슬퍼하시는 죄의 결과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4 3 6700
667 41유익
40마 2; 9-12 자원하여 찾는 사람들의 모습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7 1 7319
666 44존경
40마 1; 18-21 예수님의 이름의 뜻의 의미는 무엇인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0 3 8567
665 51계획
40마 1; 9-16 이 세상에 내려오신 하나님의 아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3 1 10672
664 46지배
23사 1; 25-31 하나님께서 이루시는 나라를 사모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6 2 12876
663 41유익
23사 1; 18-23 죄사함 받은 자의 신앙적인 변화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9 3 8140
662 42편안
23사 1; 11-17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물의 의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2 2 6761
661 46지배
23사 1; 1-4 백성들을 간절히 찾으시는 하나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5 2 6980
660 43쾌락
22아 2; 8-13 사랑하는 자와 함께 가는 곳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9 3 7943
659 61사랑
22아 2; 1-5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자의 삶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2 3 12898
658 42편안
22아 1; 9-17 하나님과 성도의 사랑과 믿음의 고백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5 5 11944
657 45인정
22아 1; 5-8 부족하지만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자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8 3 12860
656 45인정
22아 1; 1-4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자의 기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1 4 13700
655 44존경
21전 1; 14-18 바람을 잡는가 하나님을 잡는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4 2 12801
654 46지배
21전 1; 8-13 세상에서 헛되이 추구하는 목표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7 3 15043
653 41유익
21전 1; 1-7 이 세대의 헛됨과 인생의 나아가는 방향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0 5 19664
652 54용서
43요 20; 19-23 다시 살아나셔서 죄사함을 주신 예수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3 1 13530
651 43쾌락
20잠 2; 9-19 계속 지혜를 구하고 악인을 피하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7 4 11134
650 41유익
20잠 2; 1-8 지속적으로 지혜를 얻는 방법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0 2 9197
649 46지배
20잠 1; 20-33 지혜를 따라야 하는 이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3 3 8778
648 44존경
20잠 1; 1-6 잠언에 나타난 지혜에 대한 간절한 소원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6 4 10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