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337)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42편안] 23사 1; 11-17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물의 의미



Loading the player...


Loading the player...


.



 

  

231; 11-17 나님이 기뻐시는 제물의 의미_1

  

 

  

2021. 6. 13. . 주일오전.

  

 

  

*개요: 이사야에서의 믿음의 소원, 42편안-51계획, 3도덕적해석, 4선지서

  

 

  

[]1:11  여호와께서 말씀시되 너희의 무수한 제물이 내게 무엇이 유익뇨 나는 숫양의 번제와 살진 짐승의 기름에 배불렀고 나는 수송아지나 어린 양이나 숫염소의 피를 기뻐지 아니노라

  

[]1:12  너희가 내 앞에 보이러 오니 이것을 누가 너희에게 요구였느냐 내 마당만 밟을 뿐이니라

  

[]1:13  헛된 제물을 다시 가져오지 말라 분향은 내가 가증히 여기는 바요 월삭과 안식일과 대회로 모이는 것도 그러니 성회와 아울러 악을 행는 것을 내가 견디지 못겠노라

  

[]1:14  내 마음이 너희의 월삭과 정한 절기를 싫어나니 그것이 내게 무거운 짐이라 내가 지기에 곤비였느니라

  

[]1:15  너희가 손을 펼 때에 내가 내 눈을 너희에게서 가리고 너희가 많이 기도할지라도 내가 듣지 아니리니 이는 너희의 손에 피가 가득함이라

  

[]1:16  너희는 스스로 씻으며 스스로 깨끗여 내 목전에서 너희 악한 행실을 버리며 행악을 그치고

  

[]1:17  선행을 배우며 정의를 구며 학대 받는 자를 도와 주며 고아를 위여 신원며 과부를 위여 변호셨느니라

  

 

  

 

  

이사야서를 읽으면서 우리는 나님의 말씀을 듣습니다. 그리고 그 말씀에 어떻게 반응는가를 생각면서 우리의 마음 속에 있는 믿음의 소원이 무엇일까를 생각합니다. 성경말씀 속에서 우리가 경험는 것은 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에 대한 자신의 응답을 실천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나님께 대한 바람을 먼저 갖고 그 다음에 나님의 응답을 듣는 것과 동일한 원리의 의미를 갖습니다. 우리가 나님께 간구와 바람의 기도를 드릴 때 나님께서 어떻게 응답해주시기를 원는 것처럼 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해 주실 때에 우리는 어떻게 대답해야 는가가 드러나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기도와 간구에 대해서 나님께서 응답해 주시고 수용해주시고 허락해주시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그렇게만 된다면 나님께 대해서 더욱 충성고 진실며 온전한 성도가 되기를 결심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마음으로 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시는 말씀에 대해서 반응해야 할 때 충성스럽고 진실며 온전게 반응려고 한다면 우리와 나님과의 관계가 너무나 가까워질 것입니다. 왜냐면 우리의 간구에 나님께서 응답실 때 우리의 마음이 기쁠 것이며 나님의 말씀에 우리가 응답할 때에 나님의 마음이 기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럴 때 나님과의 관계는 가장 기쁘고 감사한 관계가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나님의 말씀을 들을 때에 나님께서는 이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셨던 말씀과 동일한 것을 이제 우리에게 주십니다.

  

“[]1:11 여호와께서 말씀시되 너희의 무수한 제물이 내게 무엇이 유익뇨 나는 숫양의 번제와 살진 짐승의 기름에 배불렀고 나는 수송아지나 어린 양이나 숫염소의 피를 기뻐지 아니노라

  

[]1:12  너희가 내 앞에 보이러 오니 이것을 누가 너희에게 요구였느냐 내 마당만 밟을 뿐이니라

  

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무수한 제물과 헛된 제사에 대해서 기뻐지 않는다고 말씀셨습니다. 그런 것은 나님께서 원시는 것이 아니었고 그런 헛된 제사는 나님의 성전에 나아오는 것이 아니라 나님의 성전의 마당만 밟을 뿐이라고 셨습니다.

  

그들의 제사와 제물이 헛된 것이 되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왜냐면 그들은 제사와 제물만 드렸지 실제의 삶에서는 나님의 기쁨이 되지 않았습니다. 나님은 이해기 어렵게 말씀신 것이 아니라 이해기 쉽고 명확게 이해가 되도록 말씀셨습니다. 가인과 아벨의 제사 중에서 가인의 제사는 거부시고 아벨의 제사는 받으셨을 때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그때에는 자세히 말씀시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선지서에서 이사야서를 통해서는 그 의미를 아주 자세고 구체적으로 말씀셨습니다. 그러니 오해거나 이해가 부족할 이유가 전혀 없었습니다. 그 이유가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1:13 헛된 제물을 다시 가져오지 말라 분향은 내가 가증히 여기는 바요 월삭과 안식일과 대회로 모이는 것도 그러니 성회와 아울러 악을 행는 것을 내가 견디지 못겠노라

  

[]1:14  내 마음이 너희의 월삭과 정한 절기를 싫어나니 그것이 내게 무거운 짐이라 내가 지기에 곤비였느니라

  

그것이 헛된 제물이요 헛된 제사가 되는 이유는 그들이 성회와 아울러 악도 행였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월삭과 절기와 제사를 드리면서 그와 함께 월삭의 악과 절기의 악과 제사의 악도 함께 저지르기 때문에 그것이 나님께서 견디시기에 곤비게 만드는 무거운 짐이 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제물을 가져오고 제사를 드리면서도 나님께 악도 행였던 이유는 그들이 나님의 말씀에 올바르게 반응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나님께서는 어떻게 해야 며 무엇을 해야 할지를 늘 말씀셨지만 그들이 항상 그런 말씀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그것에 올바르게 반응지 않으니 그러한 죄악이 쌓이고 쌓여서 마침내 제물과 제사를 드릴 때마다 나님께 무거운 짐을 안겨드리는 죄악이 되었던 것입니다. 그들이 그렇게 죄악에 가득한 제물과 제사를 드렸던 이유는 마음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신 말씀을 기억면서 우리 자신에게 시는 나님의 말씀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마음이 없는 제사와 제물은 나님께는 무거운 짐일 뿐입니다. 마음을 다해서 제사와 제물을 드리는 것을 기뻐시지 마음이 없는 제사와 제물은 죄악된 것을 드리는 것일 뿐입니다. 그리고 그 마음의 핵심은 착거나 선거나 도덕적인 일을 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어쩌면 자신의 악을 깨닫지 못는 어리석음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착지 않거나 선지 않거나 도덕적이지 않은 것이 무엇이 있는가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질적인 핵심은 나님을 기쁘시게 는 것입니다. 무엇이 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할 때 비로소 모든 선과 의와 정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런 마음이 없다면 결국 나님을 무시고 외면며 자신의 의와 행위와 거룩함만 나타내게 되어서 그것이 나님께 악을 행는 것이 됩니다.

  

누군가와 식사를 같이 한다고 면서 그를 고려지 않는 메뉴의 선정은 잘는 일일까요? 누군가에게 선물을 한다고 면서 그를 배려지 않는 선물의 선택은 잘는 것일까요? 그것이 상대에게 무거운 짐이 되고 불쾌한 마음이 될 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사야서에서 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시는 말씀이 바로 그것입니다. 나님을 기쁘시게 려고 한다면 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겠지만 나를 기쁘게 려고 한다면 그 말씀에는 별로 관심이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나님을 분노케 만들 뿐입니다.

  

 

  

오늘도 나님의 기뻐시는 것이 무엇이며 나님의 원시는 것이 무엇일까를 생각해야 겠습니다. 물론 오늘 본문에도 악을 버리고 행악을 그치고 선행을 배우고 정의를 구며 학대 받는자, 고아, 과부를 위셨습니다. 나님의 뜻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나님을 기쁘시게 려고 할 때 그러한 방향에서 시작되어서 계속해서 삶 속에서 나님께 기쁨이 되는 생활을 제물로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나님의 말씀에 대해서 온전게 반응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이 이사야서에서 각자의 믿음의 소원을 깨닫고 그것을 실천게 되시는 나님과 친밀한 성도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구성

  

1. 나님께 대한 성도의 반응은 나님과의 관계의 친밀함과 기쁨을 만들게 된다.

  

2. 나님은 제물과 제사와 함께 악을 행는 것을 싫어신다.

  

3. 백성들이 제사와 제물을 드리더라도 나님의 기뻐심을 생각지 않는다면 그것은 선한 것이 아니었다.

  

4. 진정한 선은 나님께서 기뻐실 일을 는 것이고 그것이 온전한 반응이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