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403)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12가정] 1창 3; 8-13 책임감당을 통해 가족이 된다





Loading the player...




 

  

13; 8-13 책임감당을 통해 가족이 된다_1

  

 

  

2024. 2. 11. . 주일오전예배.

  

 

  

*개요: 가족의 의미, #53희생

  

[]3:8 그들이 그 날 바람이 불 때 동산에 거니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 아담과 그의 아내가 여호와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동산 나무 사이에 숨은지라

  

[]3:9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부르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 있느냐

  

[]3:10 이르되 내가 동산에서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 내가 벗었으므로 두려워하여 숨었나이다

  

[]3:11 이르시되 누가 너의 벗었음을 네게 알렸느냐 내가 네게 먹지 말라 명한 그 나무 열매를 네가 먹었느냐

  

[]3:12 아담이 이르되 하나님이 주셔서 나와 함께 있게 하신 여자 그가 그 나무 열매를 내게 주므로 내가 먹었나이다

  

[]3:13 여호와 하나님이 여자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찌하여 이렇게 하였느냐 여자가 이르되 뱀이 나를 꾀므로 내가 먹었나이다

  

 

  

2월달 우리는 설 명절을 보내고 있습니다. 가족 간의 좋은 시간을 보내는 즐거운 시간이었을 것입니다. 이런 시간이 신앙적으로도 더욱 성숙해지는 계기가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전에는 설 명절에 어떻게 제사를 극복할 것인가를 고민했다고 한다면 요즘에는 어떻게 하면 가족 갈등을 극복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부모와 자녀 사이의 갈등을 극복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부부 사이의 갈등을 극복할 것인가, 어떻게 하는 자녀 사이의 갈등을 극복할 것인가가 중요한 관심사가 된 것입니다. 아마 같이 있다 보니 갈등을 겪을 기회도 많아졌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가족갈등을 신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원리를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각 가정에 가르쳐 주시는 말씀입니다. 우리는 지난 주 가인과 아벨을 통해서 가족에게 죄를 다스려야 한다, 선을 행해야 한다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부모인 아담과 하와를 통해서도 역시 배울 수 있는 모습이 있습니다. 아담과 하와는 부부로서 하지 말아야 하는 일을 보여주는데 그런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반대로 교훈을 통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책임전가를 하지 말아야 한다, 책임감당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담과 하와에게 다가오셔서 그들이 행한 죄에 대해서 점검하시는 장면은 다음 구절부터 나타납니다.

  

“[]3:8 그들이 그 날 바람이 불 때 동산에 거니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 아담과 그의 아내가 여호와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동산 나무 사이에 숨은지라

  

[]3:9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부르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 있느냐

  

그들은 선악과를 먹은 뒤 죄책감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소리를 들었을 때 오히려 하나님의 낯을 피하고자 나무 사이에 숨었지만 하나님께서는 아담을 부르시며 그를 찾으셨습니다.

  

어쩌면 부부문제에 있어서 혹은 가정문제에서 하나님께 드러나거나 혹은 말씀드리는 것이 부끄러운 일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그 모든 일을 모르실 리는 없습니다. 오히려 그 모든 상황과 반응에 긴밀하게 감찰하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십니다. 왜냐하면 가정을 이루게 하신 분도 하나님이시고 가정을 통해서 영광 받으시는 분도 하나님이시며 가정을 사랑하시는 분도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해서 아담이 대답한 것은 자신의 문제에 대한 시인이 아니라 그에 대한 책임 전가였습니다. 그럴 때 책임 전가를 하지 않고 책임 감당을 했으면 좋았을 것인데 이미 선악과를 먹고 자유의지를 잃어버린 아담과 하와는 오직 그 문제에 대해서 은혜를 따르기 보다는 악을 더 선택하는 상태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하나님께 대한 대답속에서 자신의 근원적인 악의 모습을 나타낼 수 밖에 없었습니다.

  

“[]3:10 이르되 내가 동산에서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 내가 벗었으므로 두려워하여 숨었나이다

  

[]3:11 이르시되 누가 너의 벗었음을 네게 알렸느냐 내가 네게 먹지 말라 명한 그 나무 열매를 네가 먹었느냐

  

[]3:12 아담이 이르되 하나님이 주셔서 나와 함께 있게 하신 여자 그가 그 나무 열매를 내게 주므로 내가 먹었나이다

  

아담은 하나님께 대한 대답 속에서 벗었음을 알게 되었음을 고백하였고 하나님은 그 이유가 선악과를 먹었기 때문인 것을 아시고 그것을 자기 스스로 말하도록 하게 하셨습니다. 그럴 때 그의 대답은 그냥 자신이 선악과를 먹은 것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이 주셔서 나와 함께 있게 하신 여자가 열매를 주었기 때문에 먹은 것이었습니다. 자신이 행한 죄악의 결과를 하와의 잘못으로 돌리고 그에게 책임을 전가시키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말은 하와를 하나님께서 주셨기 때문이라는 것을 말하면서 하나님께도 책임을 돌리는 의미였습니다. 이것이 아담이 보여준 책임전가의 모습이었습니다. 선악과를 먹은 죄의 결과에 더해서 책임전가까지 하는 더 큰 악에 빠져 버렸던 것입니다. 책임전가의 모습은 지금까지의 죄에 대해서 회개를 하지 않겠다는 뜻이며 계속해서 죄를 짓겠다는 자기합리와와 정당화에 해당하는 더욱 악한 죄의 모습이었습니다.

  

 

  

부부가 종종 자신의 실수와 잘못에 대해서 그 책임을 배우자에게 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담과 하와에게서 보듯이 그러한 책임전가는 좋지 않은 모습이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국 하나님께 책임을 돌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담으로서는 하나님께서 그에게 선악과의 열매를 먹지 말라고 하셨기 때문에 그 열매를 누가 주든지 먹지 말아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하와가 그 열매가 먹음직스럽고 보기에도 좋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러운 열매였기 때문에 먹었던 것처럼 아담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바로 그러한 생각을 동일하게 가졌기 때문에 먹었던 것이지 단순히 하와가 먹으라고 해서 먹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아담 자신의 잘못이었는데 그것을 하와 잘못으로 그리고 하나님 잘못으로 돌렸던 것입니다.

  

이러한 책임전가는 아담 뿐만 아닙니다. 하와도 역시 책임전가를 하였습니다. 뱀이 자신을 유혹해서 그렇게 선악과를 먹었다고 했지만 근본적으로는 그녀 자신도 선악과를 먹고 싶었습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뱀을 거부하거나 다스렸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책임전가가 부부에게서 나타나는 모습을 우리는 자주 목격합니다. 남편의 잘못은 아내 탓이고 아내의 잘못은 남편 탓이 됩니다. 그러다 보니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고 회개하기 보다는 서로의 탓만 하면서 더욱 갈등의 골이 깊어집니다. 그 갈등이 하나님께도 이어져서 하나님을 원망할 때 신앙도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부부의 문제가 나중에는 가족 전체의 문제가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부부가 갈등을 일으키면 그로 인해서 자녀들이 피해를 입고 가족 전체가 어려움에 빠지는 것은 쉽게 목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부가 가정에서 이와 같은 책임전가를 생각한다면 더 넓게는 가정 밖에서도 동일한 사고방식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속한 직장이나 사회 속에서 책임전가에만 열을 내게 됩니다. 그로 인해서 진정한 문제 해결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남 탓만 하다가 끝이 나게 되어버립니다.

  

하나님 안에서 우리는 책임전가의 모습이 얼마나 큰 죄악의 표현인가를 알아야 하겠습니다. 책임전가를 하면 할수록 원래의 죄는 회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더 큰 죄악을 부르게 됩니다. 자신의 죄도 남아있고 상대방의 죄도 더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그로 인한 심판도 커지는 것입니다. 아담도 자신의 죄와 책임전가의 죄가 합쳐져서 심판을 받은 것이고 하와도 역시 자신의 죄와 책임전가의 죄가 합쳐져서 심판을 받았습니다. 그것은 관계가 깨진다는 것이었습니다. 17절을 보십시오.

  

“[]3:17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 내가 네게 먹지 말라 한 나무의 열매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이것은 그가 선악과를 먹었기 때문에 악을 알게 되고 그 악으로 인해서 땅이 저주를 받아서 수고해야 소산을 먹을 수 있게 된 하나님의 심판이었습니다. 그 다음은 책임전가로 인한 고통이었습니다.

  

“[]3:18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이것은 단순히 수고해서 먹는 것이 아니라 가시덤불과 엉겅퀴로 인해 고통을 받는 것을 보여줍니다. 책임전가는 결국은 가시덤불과 엉겅퀴와 같은 고통을 만들 뿐임을 나타내시는 것입니다. 그런 방식은 자신의 죄를 덮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자신의 죄를 더욱 크게 만들 뿐입니다.

  

하와에게도 이것은 동일했습니다.

  

“[]3:16 또 여자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이며 너는 남편을 원하고 남편은 너를 다스릴 것이니라 하시고

  

임신하는 고통이 커진 것은 그가 선악과를 먹었기 때문이고 뱀에게 돌린 책임전가는 남편에게서 계속해서 다스림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신이 스스로 다스릴 수 없이 다스림을 받아야만 하는 존재가 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책임전가가 아니라 책임감당입니다. 그 책임을 감당하려고 할 때 죄를 짓고 그 죄에 대한 고통이 시작되었을 때라도 오히려 그 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럴 때 그리스도의 희생의 의미를 따를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죄가 아닌 인간의 죄를 대속하시는 희생을 감당하셨습니다. 그러면서 구세주가 되셨고 구원자가 되셨습니다.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책임을 감당했던 것입니다. 그 예수님의 희생을 따르고자 할 때 우리는 우리의 죄에 대한 책임을 감당하면 됩니다. 그럴 때 예수님의 길을 따라갈 수 있습니다.

  

부부는 책임을 전가하려고 할 때에는 관계가 악화되지만 책임을 감당하려고 할 때에 관계가 발전합니다. 끊임없이 그렇게 하려고 할 때 더 큰 선한 모습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것은 단순히 부부관계 뿐만이 아닙니다. 가족관계에서도 책임감당 속에서 가족의 의미가 더욱 커져갑니다. 가족이기 때문에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기 때문에 신뢰하고 협력하는 사람들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이 세상에서 부부와 가족을 통해서 바로 그러한 연합을 깨우치기를 원하십니다. 그리고 그렇게 되고자 할 때 힘을 주시고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주십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원하시는 선이기 때문입니다.

  

족장시기에 믿음의 조상이었던 아브라함과 사라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들이 서로를 비난하고 책임전가 하려고 했다면 그들의 관계는 파탄에 이르렀겠지만 그 속에서 책임감당을 하려고 했을 때 아브라함은 믿음의 조상이 되었고 사라는 만인의 어머니가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우리가 책임을 감당하려고 할 때 정말 좋은 가정을 이룰 수 있습니다

  

 

  

설 명절을 보내면서 앞으로의 가정의 모습에 대해서 책임감당의 모습을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럴 때 하나님의 은혜가 넘칠 것입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말씀의 은혜와 인도하심이 우리 모두에게 넘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2-11 (일) 17:10 3개월전
*소감
1. 책임 감당을 하려고 하면서 신뢰하고 협력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겠다.
2. 책임감당이 선악과 이후의 주님을 따라가는 삶이고 선의 모습인 것을 새롭게 알게 되니 세상은 살아갈 이유가 어디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인지 명료한 깨달음이 왔고 우리는 그동안 하나님이 세상을 향하신 뜻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너무 빈약한 지식으로 일관해 왔다는 생각이 든다.
3. 가정도 직장장도 어쩌면 교회생활도 모두 책임을 감당하는 것임을 기억하고 믿지 않는 친지들에게 복음을 전할 때 삶의 이유가 이러함을 잘 설명해 주어야겠다. 철학적 이유, 도덕적 이유, 심리적 이유 등등은 모두 빈약하다.
4. 감사합니다. 명절이라고 예배에 안 왔으면 어쩔뻔 했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5. 책임전가, 책임회피를 하지 말고 책임을 감당하는 것이 신뢰받는 성도의 삶입니다.
6. 제게 주어진 상황에서 가족을 비난하거나 탓하지 않고 부족한 부분도 제 스스로의 책임이라는 생각과 주인의식을 갖고 하나님께 도움과 은혜를 간구하며 어떻게 해야 극복할 수 있는지 고민하며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7. 어떤 일이 일어나도 남을 탓하지 않고 하나님을 찾는 삶을 살아야겠다.
8. 가정에서 책임을 감당해야 함을 깨달았습니다.
9. 가정 안에서 책임전가를 하지 않고 책임감당을 잘 해야겠습니다.
10.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지 검토하고 하나님께 의지하며 살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11. 내 죄를 책임전가가 아닌 책임을 감내하는 신앙인이 되고 싶습니다.
12. 책임전가 하지 않고 하나님 앞에서 감당하는 자가 되어야겠다.
주소 추천 0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747 3감정
눅24;32-36 마음이 뜨거워진 그 다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26 28 6865
746 6결심
1창7; 13-16 세 가지 가족사랑의 모습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01 12 6045
745 51계획
42눅 18; 15-22 어린 아이와 같은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02 0 3984
744 85교제
요13, 네 하는 일을 속히 하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0 6069
743 83성숙
43요 3; 12-16 하나님의 성전 된 성도가 하는 일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8-26 1 3630
742 5은혜
42눅12;16-21 오늘밤 죽게 될 한 부자의 고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2 19 7391
741 56충만
61벧후1;3-11 신의 성품에 참예하는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6 11 6661
740 61사랑
45롬 8; 31-34 고난 속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을 깨닫는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08 8 4816
739 51계획
25애 1; 11-15 하나님의 심판하심 속에서 깨달아야 하는 것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19 1 1760
738 84교육
59약 2; 14-20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24 22 5184
737 64인내
40마26;36-46 잔을 거부하시지 않는 인내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06 12 6489
736 55동행
62요일 1; 1-5 하나님 안에 있는 너희와 우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02 2 3678
735 85교제
54단2 하나님께서 그 해석을 알려주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5 21 4774
734 84교육
45롬 3; 19-24 율법의 심판에서 은혜의 의로우심으로 나아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30 2 3575
733 5은혜
행 1;1-5 데오빌로에게 보내는 편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08 26 7798
732 5은혜
50빌2; 13-16 빛으로 나타나고 자랑하게 하려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10 19 6024
731 31미움
6수 1; 12-16 하나님께서 주시는 안식을 따라가는 자들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2 1 6330
730 84교육
43요 1;1-14 하나님의 선택하신 자의 구속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07 16 5301
729 76우애
45롬 12; 9-13 우애를 이루는 삶은 사랑의 삶이다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4-06 1 2113
728 54용서
51골 1:20-23 하나님과 화목케 되기를 노력하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3 11 8363
727 51계획
41막7; 24-30 은혜를 받는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13 13 6609
726 54용서
16느 9; 13-17 지금까지 우리를 용서하신 하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19 0 4126
725 82연합
40마28;16-20 주님이 주신 위대한 명령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2 16 4955
724 84교육
51골 2; 18-23 규례에 순종이 아닌 머리를 붙드는 삶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13 1 3211
723 75덕행
46고전 14; 20-26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해서 행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3 15 6717
722 12가정
1창 12; 1-5 가정목적에 대한 하나님의 충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9-21 0 3592
721 84교육
38갈3; 15-18 미리 정하신 언약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04 20 4983
720 54용서
36습 1; 17 – 2; 3 수치를 모르는 백성과 겸손한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4 0 1714
719 5은혜
47고후 4;7-10 결코 꺼지지 않는 생명력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07 9 7887
718 55동행
44행 12; 6-12 일어나서 따라오게 하시는 동행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7 21 7149
717 44존경
40마 1; 18-21 예수님의 이름의 뜻의 의미는 무엇인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0 0 4799
716 82연합
7삿 7; 9-14 네가 만일 두려워하거든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06 16 4390
715 53희생
1창18;20-26 소돔의 구원을 간청하는 한 사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5 20 7317
714 56충만
53살후 1; 3-8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가 된다는 것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30 1 3891
713 84교육
49엡 1 예정을 입어 기업이 되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18 19 4417
712 82연합
44행 10; 36-46 말씀들을 때 성령이 내려오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05 0 3307
711 6결심
삼하 6, 진정한 감사의 기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04 20 6181
710 5은혜
40마24; 3-14 현세적 신앙과 내세적 신앙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07 14 7295
709 55동행
42눅 7; 11-17 하나님께서 어버이를 돌보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09 1 3578
708 85교제
마 4,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22 5636
707 64인내
44행 1; 1-5 약속을 기다리는 하나님의 성도들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9-02 2 3670
706 5은혜
40마27;27-38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2 18 7821
705 55동행
41막1; 14-20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를 따라 오너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14 16 6714
704 61사랑
45롬 8; 35-39 부활하신 주님의 한없으신 사랑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5 8 4242
703 51계획
25애 1; 16-20 하나님을 어느 때에 만나고 있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26 1 1798
702 84교육
59약 2; 21-26 주를 믿는 마음은 행동으로 나타난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31 21 5376
701 64인내
42눅22;47-54 이것까지 참는 인내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13 10 6617
700 55동행
62요일 1; 6-10 빛이신 하나님과 동행하는 방법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09 2 4629
699 83성숙
44행8 성령께서는 충만하게 되기를 원하신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6 20 4373
698 84교육
45롬 3; 23-26 믿음의 화목 제물이 되신 이유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2 2 954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