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390)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47고후] 47고후 13; 1-5 그리스도 안에 있는 증거를 나타냄2

Loading the player...


 

  

47고후 13; 1-5 그리스도 안에 있는 증거를 나타냄2_5

  

 

  

2018. 6. 15. . 금요철야

  

 

  

*개요:  고린도후서 연구

  

[고후]13:1           내가 이제 세 번째 너희에게 가리니 두세 증인의 입으로 말마다 확정하리라

  

[고후]13:2           내가 이미 말하였거니와 지금 떠나 있으나 두 번째 대면하였을 때와 같이 전에 죄 지은 자들과 그 남은 모든 사람에게 미리 말하노니 내가 다시 가면 용서하지 아니하리라

  

[고후]13:3           이는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말씀하시는 증거를 너희가 구함이니 그는 너희에게 대하여 약하지 않고 도리어 너희 안에서 강하시니라

  

[고후]13:4           그리스도께서 약하심으로 십자가에 못 박히셨으나 하나님의 능력으로 살아 계시니 우리도 그 안에서 약하나 너희에게 대하여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와 함께 살리라

  

[고후]13:5           너희는 믿음 안에 있는가 너희 자신을 시험하고 너희 자신을 확증하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희 안에 계신 줄을 너희가 스스로 알지 못하느냐 그렇지 않으면 너희는 버림 받은 자니라

  

 

  

 

  

 오늘 말씀에서 사도 바울은 이 편지의 목적과 당부하는 말, 그리고 끝인사 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가  고린도교회의 죄 지은 자들에 대해서 다시 한번 당부하는 내용은 그들의 잘못된 반응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쉽게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여전히 반항적이었고 도리어 책망하는 바울에게 대드는 모습이었습니다. 특히 그들은 자신들의 죄를 지적하는 바울에게 그 판단기준에 그리스도의 어떤 권위가 있는지를 따졌습니다. 그리고 바울이 그리스도 안에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개인적인 판단과 생각으로 한다고 도리어 공격했습니다. 그들은 어떤증거를 요구했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사도 바울은 그러한 고린도교회의 어리석음에 대해서 죄문제로 다가갔습니다. 그 죄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분명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고후]13:2         내가 이미 말하였거니와 지금 떠나 있으나 두 번째 대면하였을 때와 같이 전에 죄 지은 자들과 그 남은 모든 사람에게 미리 말하노니 내가 다시 가면 용서하지 아니하리라

  

이러한 태도는 현대교회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교회가 새로워져야 한다고 말하면 왜 그래야 하냐고 반문합니다. 인격과 열정을 회복하자고 하면 지금 현재 상태에 무슨 문제가 있느냐고 합니다. 성도 개개인의 잘못과 실수를 지적하면 그 이유들이 모두 교회 자체와 프로그램과 체제와 그리고 목사님을 비롯한 교역자들에게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당신이나 잘하라고 합니다. 이런 상황이니 고린도교회의 죄지은 자들이나 오늘날 우리들이나 큰 변화는 없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그럴 때 사도 바울은  무엇이라고 대답했을까요? 혹시 주눅들어 뒤로 물러서지는 않았을까요?

  

“[고후]13:3         이는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말씀하시는 증거를 너희가 구함이니 그는 너희에게 대하여 약하지 않고 도리어 너희 안에서 강하시니라

  

사도 바울은저가 너희를 향하여 약하지 않고 도리어 너희 안에서 강하시니라고 말했습니다. 죄를 지적할 때에 그 모습은 주님의 약하심의 모습이 아니라 강하심의 모습으로 나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주님의 약하심과 강하심의 의미를 좀 더 알아야 합니다. 주님이 약해지신 것은 죄값을 치루는 십자가의 고난으로 인해 약해지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다 치루신 후에는 다시 강해 지셨습니다. 그 때에 예수님의 모습은 영광과 존귀와 능력의 모습입니다.

  

죄를 지적할 때의 모습은 그 죄 가운데서 고통하며 괴로워하는 주님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그 때에는 죄값을 치루시고 승리하시고 강하여지신 주님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죄는 바로 그 모든 주님의 승리와 강하여지심이 있기에 지적되는 것이고 회개가 촉구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를 위해 죽으신 주님이 이제 살아나셨기에 죄는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되고 다시 약해져서도 안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약하여진 것 같은 순간이 있습니다. 아니면 그리스도께서 더이상 함께 하시지 않는 것 같은 순간이 있습니다. 또는 그리스도께서 더이상 말씀하시지 않는 것 같은 순간이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커다란 실망을 하게 됩니다. 그리스도에 대해서 실망하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실망하며 자기 자신에 대해서 실망합니다.

  

고린도 교인들도 역시 바울을 보며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사도 바울은 더이상 그리스도의 말씀을 전하는 사람이 아닌가 보다", "그렇지 않고서야 저렇게 연약해질 수가 없다", "바울이 믿는 그리스도도 별 수 없는가 보다" 여기에 대해서 바울은 강하게 부인하고 있습니다.

  

"[고후]13:4         그리스도께서 약하심으로 십자가에 못 박히셨으나 하나님의 능력으로 살아 계시니 우리도 그 안에서 약하나 너희에게 대하여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와 함께 살리라"

  

이것이 무슨 말일까요? 우리가 보기에 그리스도는 약한 모습이고, 아무 힘이 없는 모습이고, 어떤 확실한 그 무엇을 보이지 못하시는 분인데 왜 도리어 우리 안에서 강하시다고 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그리스도의 삶을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에 못박히실 때, 약해 보였습니다. 아무 저항할 힘도 없는 것 같았습니다. 군병들과 사람들이 자신을 유린하고 짓밟을 때, 그리스도께서는 아무런 반항을 하지 않으셨습니다. 그저 때리면 맞았고, 못을 박으면 박혔으며, 십자가에 매달았을 때 그대로 달리셨습니다. 그냥 그렇게 죽으셨을 뿐이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놀라운 일은 그 다음에 일어났습니다. 죽으셨던 예수님께서 다시 살아나셨던 것입니다. 그분이 살아나시는 것을 아무도 막을 수 없었습니다. 진정한 능력을 보이셨던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이러한 부활은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바로 우리 자신의 이야기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도 동일한 일을 겪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 놀라운 부활의 경험을 위해서 때로 주님은 일부러 죽는 것을 막지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나사로는  연약한 모습으로 죽으셨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죽음은 다음 부활할 것을 생각할 때 커다란 슬픔이 아니었습니다잠시 잘 뿐이었던 것입니다. 나사로는 죽은 지 사흘 만에 살아났습니다. 더 크고 놀라운 기쁨과 감격이 모든 사람에게 임하였습니다. 그리고 그와 같이 예수님 자신께서도 죽은 지 삼일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우리도 마찬가지 입니다. 예수님 같이 연약함으로 죽음에 이르게 될 것이나 예수님 같이 강함으로 다시 부활하게 될 것입니다. 다시 날아 오르게 될 것입니다. 다시 회생하게 될 것입니다.

  

 

  

이제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을 어떻게 나타내는가 입니다. 그리스도를 따라 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아니면 그리스도를 조롱하고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약해 보이고 힘없어 보이고 초라해 보여도 예수님의 십자가의 모습은 위대하며 강력하고 숭고한 길이었던 것입니다. 이제 우리가 그 예수님을 믿고 그 안에 살 때에 우리 역시 죽음과 같은 어려움을 뚫고 이겨나가 예수님의 부활하심과 같은 놀라움을 경험하며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 늘 자신의 믿음을 점검하며 돌아보고 확증하는 자들이 되어야 합니다.

  

“[고후]13:5         너희는 믿음 안에 있는가 너희 자신을 시험하고 너희 자신을 확증하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희 안에 계신 줄을 너희가 스스로 알지 못하느냐 그렇지 않으면 너희는 버림 받은 자니라

  

우리는 그저 죄에 대한 지적 그 자체만을 싫어하기 때문에 죄의 지적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죄의 지적에 대항하는 거부반응을 불편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려고 합니다. 하지만 죄를 이기고 승리하신 주님의 강하심을 잊지 말하야 합니다. 주님의 고난이 헛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죄를 이겨내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죄를 그냥 내버려 두면 우리는 버려진 자일 수 밖에 없습니다.

  

죄를 지적할 때에 반드시 그 증거를 요구하는 반응이 있을 것입니다그 때에 뒤로 물러서지 마십시오. 죄를 이기지 않으면 우리는 그리스도의 피를 헛되이 하는 자들입니다. 그런 결심도 세우지 못하면 버려진 자가 되고 맙니다. 연약함을 이기고 강함으로 주님의 올바른 능력을 나타내는 우리 모두가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29 부부화목
23사13; 1-22 하나님께서 노를 푸시는 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22 15 2055
628 신앙성숙
창30:25-32 나의 품삯을 주소서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04 14 3512
627 자기관리
66계 1; 9-20 교회들에게 주시는 말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4 13 2293
626 40마
40마 2:1-6 유대땅 베들레헴 (성탄절, 주일오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07 11 1744
625 가정화목
49엡 2; 17-22 둘이 한 성령 안에서 아버지께 나아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17 2 2023
624 담대함
10삼하 24; 1-10 다윗의 격동함과 후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30 6 2496
623 43요
43요 1; 32-39 성령이 예수님을 증거하여 주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9 19 2330
622 46고전
46고전 1; 26-31 우리를 부르심의 가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27 3 2006
621 신앙성숙
46고전 2; 1-9 그리스도를 통해서 전달되는 지혜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29 3 1891
620 23사
23사62 너를 버리지 아니하며 기뻐하실 것이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2 10 1744
619 가정화목
23사36 여호와의 뜻을 거짓으로 말하는 자들_c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4 16 2033
618 음식절제
11왕상 17; 11-16 가장 부족한 가운데에서의 충만함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16 2 1609
617 분별력
45롬12; 1-2 영적 예배의 목적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18 11 2368
616 자녀발전
51골 1; 24-27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4-21 0 1755
615 연애
23사61; 1-11 아름다운 소식을 전함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31 11 2081
614 쾌활함
9삼상 21; 10-15 아기스에게서 도망가는 다윗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24 16 3981
613 협동심
골2:1-5 그리스도를 깨닫게 하려 함이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09 14 3923
612 42눅
42눅 23; 42-43 오늘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29 10 2653
611 담대함
43요19 요셉이 구하매 빌라도가 허락하는지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5 11 2149
610 신앙성숙
50빌 2; 19-30 디모데와 에바브로디도의 동역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1 952
609 인내심
7삿 4; 1-9 구원의 도구로 쓰이는 자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21 1 1903
608 43요
43요13 너희도 서로 발을 씻기는 것이 옳으니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17 14 2624
607 담대함
47고후 4; 1-6 하나님의 영광을 알게 하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21 0 1895
606 직장발전
1창1: 27-28 하나님이 만드신 말과 파괴된 말[120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09 14 2128
605 성능력
5신 5;1-6 우리와 언약을 세우시는 하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07 14 3753
604 이해력
12왕하22;1-7 성전을 수리하고 돌아보았던 요시야왕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08 2 1808
603 자기관리
44행 17; 16-34 아덴에서의 논쟁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01 12 2760
602 담대함
40마 27; 55-66 섬기는 자들과 지키는 자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08 0 1802
601 가정화목
6수 22; 21-27 우리가 단을 세운 이유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28 11 2326
600 성정체성
마 2; 13-15 무엇을 이루기 위함인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04 14 3475
599 사고원활
1창19 소알로 피신하는 롯과 그의 가족_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8 10 2157
598 44행
44행 9;10-16 아나니아를 보내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4 14 2281
597 협동심
58히 10; 19-25 서로 돌아보며 격려하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25 13 3835
596 성교육
51골 3; 22-25 주님을 기쁘시게 하는 자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04 1 1223
595 담대함
5신 6;20-25 다른 사람이 그 의미를 네게 묻거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11 11 1858
594 쾌활함
8룻 2; 14-23 나오미가 하나님을 따라가기 시작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23 1 2181
593 용감성
45롬 5; 6~8 사랑의 확증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14 11 2457
592 40마
40마 4; 18-25 나를 따라오너라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16 0 1640
591 신앙성숙
23사14; 1-24 이스라엘이 다시 돌아오는 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25 14 2733
590 1영역
41막15;33-39 진정한 하나님의 아들의 모습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08 17 2588
589 인내심
66계 2; 1-7 첫 사랑을 다시 가지라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7 12 2526
588 44행
행 4: 23-31 주님의 성도들이 간구한 것 (2006년 금요철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07 9 1570
587 인내심
49엡 3; 8-13 교회의 환난 속에서 영광을 얻을 수 있는 이유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1-29 1 2087
586 가정화목
10삼하 24; 16-25 기도를 기다리시는 하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07 5 2862
585 담대함
43요 1; 40-48 따르는 사람들과 따르게 하는 사람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6 16 2147
584 분별력
46고전 2; 9-16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지고 가르치는 자들2_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05 5 1856
583 사회성
23사63 이스라엘 백성과 하나님의 애증관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9 13 2127
582 23사
23사37 하나님께서 들으시는 것들_c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7 11 1798
581 자녀발전
11왕상 17; 17-24 죄를 생각나게 하시는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23 0 1626
580 직장발전
45롬12; 3-5 각사람의 믿음의 분량2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31 15 343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