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400)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42눅] 42눅 22; 56-62 밖에 나가서 통곡함2_4

Loading the player...


 

42 22; 56-62 밖에 나가서 통곡함2_4

 

 2015.4.1..수요예배

 

*개요:    고난주간,

[]22:56             한 여종이 베드로의 불빛을 향하여 앉은 것을 보고 주목하여 이르되 이 사람도 그와 함께 있었느니라 하니

[]22:57             베드로가 부인하여 이르되 이 여자여 내가 그를 알지 못하노라 하더라

[]22:58             조금 후에 다른 사람이 보고 이르되 너도 그 도당이라 하거늘 베드로가 이르되 이 사람아 나는 아니로라 하더라

[]22:59             한 시간쯤 있다가 또 한 사람이 장담하여 이르되 이는 갈릴리 사람이니 참으로 그와 함께 있었느니라

[]22:60             베드로가 이르되 이 사람아 나는 네가 하는 말을 알지 못하노라고 아직 말하고 있을 때에 닭이 곧 울더라

[]22:61             주께서 돌이켜 베드로를 보시니 베드로가 주의 말씀 곧 오늘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하심이 생각나서

[]22:62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하니라

 

 

베드로는 자신의 생각과 결심과는 다르게 예수님이 말씀하셨을 때에 당황했습니다. 왜 예수님은 내가 옥에도 죽는 데도 가기를 준비하였다고 하였을 때 내 말을 믿어주지 않았을까? 어쩌면 그렇게도 나의 진심을 믿어주지 않을까? 그는 아마 이렇게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예수님이 오늘 밤 닭 울기 전에 네가 나를 세번 부인하리라고 하실 때에 그는 기겁했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 예수님의 수제자요 철저하게 주님을 따르는 내가 어떻게 주님을 모른다고 할 수 있겠는가? 뿐만 아니라 그것도 어떻게 세번씩이나 주님을 부인하겠는가? 도저히 있을 것 같지 않고 있어서도 안되는 일에 대해서 주님이 말씀하셨을 때 베드로는 놀라고 답답하고 절망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말 그 일은 베드로에게 일어났고 정신없이 두려움에 사로잡혀 작고 연약한 비자앞에서 세 번씩이나 주님을 부인하고 나니 얼이 빠진 상태에서 멀리서 닭우는 소리를 들었을 때 그는 마치 망치로 세게 머리를 맞는듯한 충격에 빠졌습니다. 새벽에 주님이 하신 말씀이 생각났고 그대로 모든 일이 일어난 것에 대해서 커다란 충격을 받았던 것입니다. 아무 생각없이 세번씩이나 주님을 부인할 때는 몰랐지만 이 모든 일이 주님의 말씀하신 그대로 이루어진 것을 깨달았을 때 그는 어찌할 바를 모르게 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대로 나아가 심히 통곡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는 왜 통곡했을까요? 그의 눈물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자신의 신념을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감때문에? 혹은 자신이 이정도도 안되는가를 깨달은 뒤의 절망감때문에? 아니면 예수님 앞에서 부끄러운 모습을 보였다는 수치심때문에? 도대체 그가 눈물을 흘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혹자는 왜 쓸데없는 것에 관심을 갖느냐고 말할지 모르겠습니다. 베드로가 무엇때문에 눈물을 흘리는지 그것이 뭐가 중요하냐고 말할지 모르겠습니다. 그것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베드로가 회복될 수 있느냐가 아니냐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의 눈물의 이유를 아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왜 통곡을 하는 지를 꼭 이해해야 합니다. 그 속에 정말 풀고자 하는 문제가 있고 그에 대한 답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때로 베드로와 같은 경험을 합니다. 그래서 눈물을 흘리기도 합니다. 통곡을 할 때도 있습니다. 주님을 세 번이나 배반하고 그것은 돌이켜보면 아무 것도 아닌 것에 너무나 쉽게 주님을 부인해 버렸습니다. 그리고 그런 일을 하고 나서야 비로소 예수님의 말씀이 기억납니다. 우리가 얼마나 죄인인것과 자신의 힘으로는 도저히 설수 없는 자임을 깨닫습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너무나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절감합니다. 하지만 그 뿐입니다. 그리고 나서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상황에 부딪칠 때 또 주님을 세번 부인합니다. 그리고 통곡하는 악순환은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부인하고 통곡하고, 부인하고 통곡하고….후회하고 새로 결심하고, 후회하고 새로 결심하고  도대체 우리의 죄의 반복은 왜 자꾸 일어나는 것일까요?

그 문제에 대한 답이 바로 베드로의 통곡 속에 있습니다. 그래서 그 이유를 잘 들여다 봐야 하는 것입니다. 베드로가 통곡하고 있는 이유는 그가 주님의 말씀을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 말씀이 기억나기 전에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예수님을 극구 부인하고 반대하며 저주하였으나 그 말씀이 기억났을 때에 그는 자신의 추함과 더러움과 배반함을 깨달았고 수치심에 모멸감에 스스로에 대한 절망감에 죄책감에 휩싸여 밖으로 나아가 통곡하였던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기 전에는 우리는 대담합니다. 두려워하는 것이 없습니다. 죄책감도 들지 않습니다. 무엇하나 꺼리끼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당당하게 죄를 짓습니다. 그것이 옳은 것인지 그릇된 것인지에 대한 개념도 없고 알고 싶지도 않기 때문에 주님을 부인하고 그것이 세번이든 삼십번이든 개의치 않고 그일을 행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점차 타락해지고 점차 세속적이 되며 점차 비신앙적으로 물들어 갑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본성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하고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개의치 않을 때에 우리는 더욱 죄악속에 물들어 갑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에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게 되었을 때에 우리는 잠시 주춤합니다. 그때 눈물을 흘리기도 합니다. 통곡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것이 몰입해가는 죄악과 익숙해져가는 모든 악행에 대한 브레이크가 됩니다. 눈물과 통곡으로 자신의 행한 일을 돌이켜보며 스스로가 무슨 짓을 했는지 의식했을 때에 우리는 잠시 정적에 빠집니다. 그 순간이 어느 때이든지 그 사건의 크기과 악행의 수준이 어떠하든지에 상관없이 바로 그 때 만큼은 우리는 가만히 제자리에 서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그 다음부터입니다. 그렇게 통곡과 눈물을 흘리고 난 다음에 그 사람은 어디로 행할까요? 다시 이전에 가던 방향으로 계속 나아갈까요? 아니면 가던 방향을 돌이켜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까요? 바로 여기에 그 통곡과 눈물의 진실성이 있는 것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죄악을 깨닫고 통곡하며 눈물을 흘릴 때에 그 눈물은 정말 진실한 것인지 아니면 가식적인 것인지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그 사람이 그렇게 눈물을 흘린 다음에 다시 또 이전에 했던 일을 반복할 지 아니면 정말 새로운 삶을 살아갈지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겠습니까?

 

여기에서 베드로와 우리의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베드로의 통곡은 단순한 통곡이 아니었고 자기 자신에 대한 자괴심이나 수치심이나 절망감이 아니었고 하나님께 대한 부끄러움이었으며 하나님께 대한 죄책감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돌이켰고 나중에 주님의 말씀대로 형제들을 굳게 하였으며 여전히 아니 이전보다 더 굳건한 수제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들이 반복해서 죄를 짓고 반복해서 회개하며 반복해서 또 그 죄를 다시 행하고 있다면 여기에서 베드로의 눈물과 우리의 눈물은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통곡의 진실성은 여기에 있습니다. 정말 그렇게 눈물을 흘린 다음에 돌이키느냐 아니냐에 그 눈물의 진실함이 있는 것입니다. 돌이키지 않는다면 그 눈물은 가식이며 정말 돌이킨다면 그 눈물은 진실이 되는 것입니다.

이제 밖에 나가서 통곡하는 베드로를 보며 우리의 모습을 돌아봅니다. 우리의 통곡은 과연 진실한 것이었나? 정말 우리는 돌이키기 위해서 통곡하는 것인가, 아니면 스트레스 해소와 감정의 정화를 위해서 통곡하는 것인가? 만약 우리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해 통곡하는 것이면 반드시 돌이킬 수 있겠고 그럴 때에 우리의 눈물은 우리의 후회는 우리의 죄책감은 의미가 있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더 남은 의문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 하나님의 말씀은 진실한 회개로 나아가게 하는 반면 어떤 사람에게 하나님의 말씀은 그저 죄악에 대한 단순한 정지일 뿐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왜 말씀은 동일하지만 어떤 사람은 돌이키고 어떤 사람은 잠시 머물러 섰다가 다시 계속해서 죄로 나아가게 되는 것일까요? 그 결정적인 차이가 베드로의 모습 속에서 나타납니다. 베드로가 하나님의 말씀을 생각하게 된 계기가 무엇이었는가가 그 열쇠입니다. 베드로는 어떻게 예수님의 말씀을 생각하게 되었을까요? 61절을 보십시오.

“[]22:61           주께서 돌이켜 베드로를 보시니 베드로가 주의 말씀 곧 오늘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하심이 생각나서

오직 누가복음에만 나와있는 구절입니다. 또한 딱 한마디로만 간단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의식하기 어렵고 찾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 말씀은 너무너무나 중요한 대목입니다. 주님은 돌이켜서 베드로를 보셨고 그 순간 베드로와 예수님의 시선이 마주쳤던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베드로는 주님을 만났습니다.

 

이렇게 주님을 만나는 사람들은 도저히 더이상 자신의 가던 길을 갈 수가 없게 됩니다. 그 신비한 능력이 그를 붙들어 돌이키게 하십니다. 주님을 만났느냐는 것이 우리의 삶을 돌이키게 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이유이고 그렇게 주님을 만났을 때에 우리의 눈물은 우리의 통곡은 의미를 갖게 되고 그로 인해 돌이키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주님을 만났습니까? 그 주님의 시선을 바라보고 있습니까? 베드로가 보았던 예수님의 눈길을 여러분은 마주해서 바라보고 있습니까? 사람들이 희롱하고  때리며 주먹으로 치고 가시 면류관을 씌울 때에도  여전히 자신의 사랑하는 제자를 바라보시는 그 시선을 여러분은 주목하여 바라보고 있습니까? 여러분을 너무 너무나 사랑하셔서 간절히 돌이키기를 바라시는 그 시선을 바라보고 있습니까?

 

오늘 우리의 통곡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하기를 원합니다. 고난주간에 우리의 고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의식하시기를 원합니다. 단지 이전에 행하고 있는 악한 일들을 잠시 중단하는 주간인지 아니면 이 주간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서 새로운 삶의 길을 가게 되는 것인지 결정하시기를 바랍니다. 부디 잠시 잠깐의 중단이 아니라 완전한 돌이킴이기를 바랍니다. 주님의 그 시선을 만나고 나서는 도저히 예전에 가던 길로는 예전에 행하던 삶으로는 살아갈 수 없음을 깨달으시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돌이켜 진실로 다른 형제들을 굳게하고 우리에게 주신 이 놀라운 사랑을 받아들이게 되는 자들이 되기를 원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세워 놓으신 그 놀라운 계획과 영광이 바로 주님의 고난을 생각하며 돌이킴을 통해서 우리의 계속되는 삶에 넘치게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729 담대함
41막 4; 35-41 예수님이 원하시는 큰 믿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2 13 2766
728 이해력
16느 8; 1-6 백성들이 율법책에 귀를 기울이다 [84교육]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22 0 1048
727 23사
23사50;1-11 하나님은 우리를 버리시지 않으신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25 11 2084
726 순발력
11왕상 11; 1-5 솔로몬이 여호와보다 더 사랑한 것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3-10 1 2051
725 45롬
45롬9; 19-24 토기장이의 권한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30 13 2554
724 40마
40마 11; 25-27 하나님을 아는 신앙의 소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06 1 2142
723 직장발전
1창12;5-10 가나안에서 애굽으로 내려가는 아브라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24 13 2102
722 9삼상
9삼상 15; 24-35 현재 왕을 버리고 다음 왕을 준비하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20 10 3592
721 인내심
66계 14; 1-5 십사만 사천의 성도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28 14 2379
720 인내심
58히 6; 1-8 성령에 참예했다가 실족한 자들에 대한 소망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07 17 4024
719 자녀발전
50빌 2; 13-16 빛으로 나타나서 하나님을 자랑하게 하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8 1 1592
718 33미
33미 3 내 백성을 유혹하는 선지자와 지도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6 16 1930
717 사고원활
20잠 24; 28-32 사고원활이 이루어지는 지혜로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08 0 36
716 담대함
4민 14; 1-10 하나님을 따라가지 않은 이스라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10 2 1573
715 43요
43요 8 당신이 어떻게 아브라함보다 클 수 있느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31 13 2136
714 협동심
46고전 13; 1-7 사랑으로 역사하는 교회의 성도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01 1 1710
713 23사
23사26 오직 주님만 의지하던 자들의 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3 12 2013
712 6수
6수 4;4-8 영원한 기념물 만들기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16 15 1964
711 자녀발전
12왕하 5; 9-15 요단강에 몸을 담그는 나아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7 1 2021
710 44행
44행 14; 16-19 지나간 세대들에 대한 이해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19 14 2818
709 40마
40마 24; 34-37 재림의 시기와 방법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8-18 0 1843
708 46고전
고전12,서로 돌아보게 하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12 14 3236
707 침착함
9삼상 30; 1-6 심히 군급하였으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10 15 3693
706 44행
45행 6; 1-7 하나님의 말씀과 사람을 세우는 것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24 11 2773
705 자기관리
45롬6; 12-14 의의 병기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25 11 2414
704 자녀발전
51골 1; 24-27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의 의미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19 0 972
703 23사
23사 5; 1-7 하나님의 기대와 우리의 기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9 15 1947
702 7삿
7삿 15; 1-8 원수를 갚기 위해 행하는 사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27 1 1857
701 가정화목
43요19 저희가 그 찌른 자를 보리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5 14 2865
700 47고후
47고후 12; 11-15 연약함 속에서 더욱 나타나는 사랑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4 1 1987
699 수요예배
합2;1-3 비록 더딜찌라도 기다리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15 15 3303
698 인내심
5신 6;10-13 너로 배불리 먹게 하실 때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1 15 2978
697 9삼상
9삼상15; 17-23 여호와를 따르지 않는 거짓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13 13 3568
696 16느
16느 1; 1-5 느헤미야의 슬픔과 기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02 1 777
695 인내심
44행 26; 8-15 우리가 핍박했던 예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21 12 2869
694 신앙성숙
48갈 5; 1-6 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03 0 1679
693 23사
23사51 나는 네 하나님 만군의 여호와니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12 13 1769
692 의지력
52살전 2; 9-12 거룩하고 흠없이 행한 것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16 3446
691 백년해로
10삼하 9; 1-4 다윗의 요나단과의 약속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11 18 2656
690 가정화목
44행 12; 18-25 끝나지 않은 구원역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03 16 2501
689 사고원활
41막 5; 25-34 무리 중에서 손을 내어민 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9 11 2583
688 의지력
16느 8; 7-12 하나님의 말씀을 밝히 아는 기쁨 [84교육]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29 2 869
687 23사
23사51;1-16 나는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01 10 2077
686 11왕상
11왕상 11; 11-14 솔로몬에게 여러 대적들이 생긴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3-17 1 1954
685 45롬
45롬9; 25-33 이방인과 이스라엘의 구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02 12 2654
684 자녀발전
40마 11; 27-30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14 0 1690
683 1창
1창13;14-18 동서남북을 바라보게 하시는 하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7 14 1978
682 음식절제
9삼상 16; 1-13 마음의 중심을 보심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10 16 3536
681 인내심
66계14; 6-20 여섯 천사들의 종말에 대한 증언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03 11 2622
680 기억력
58히 6; 9-12 우리를 기억하시는 하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5 13 350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