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374)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신앙성숙] 41막 15; 21-27 구레네 사람 시몬이 경험한 것2

Loading the player...


 

41 15; 21-27 구레네사람 시몬이 경험한 것2_5

 

2017. 4. 21. . 금요철야

 

*개요:  마가복음 연구,

[]15:21             마침 알렉산더와루포의 아버지인 구레네 사람 시몬이 시골로부터 와서 지나가는데 그들이 그를 억지로 같이 가게 하여 예수의 십자가를 지우고

[]15:22             예수를 끌고골고다라 하는 곳(번역하면 해골의 곳)에 이르러

[]15:23             몰약을 탄포도주를 주었으나 예수께서 받지 아니하시니라

[]15:24             십자가에 못박고 그 옷을 나눌새 누가 어느 것을 가질까 하여 제비를 뽑더라

[]15:25             때가 제삼시가되어 십자가에 못 박으니라

[]15:26             그 위에 있는죄패에 유대인의 왕이라 썼고

[]15:27             강도 둘을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으니 하나는 그의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있더라

 

인생에서 우리가 보고 경험하는 것은 항상 좋은 , 아름다운 , 멋있는 것만 있지 않습니다. 때로는 악한 , 더러운 , 추한 것을 보고 경험합니다. 좋은 , 아름다운 것은 우리의 마음을 기쁘게 하지만 악한 , 더러운 것은 우리의 마음을 슬프게 혹은 괴롭게 합니다. 그러한 개념은 우리 속에 자리잡혀 있습니다. 사실 인간은 그렇게 태어난 것입니다.

어떤 사회학자들은 우리의 마음 속에 선악의 개념이나 혹은 좋고 나쁨의 개념이 사회적으로 학습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태어난 어린 아이들이 좋고 싫음이 분명하고 아름답고 선한 것을 선호하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태어난 자들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들은 어려서부터 좋은 것만을 보고 듣고 경험하며 자라야 합니다. 그래야 하나님의 형상이 발전됩니다. ,,의가 더욱 성숙하게 됩니다. 기쁘고 즐겁고 밝고 아름답게 자라게 됩니다. 그러나 어려서부터 악한 것을 보고 듣고 자라면 죄성이 강화됩니다. 악하고 더럽고 지저분해집니다. 왜냐하면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형상도 있지만 원죄의 죄성도 내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되도록 좋은 것만을 경험하며 살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중요하고 의미있는 귀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러한 경험은 단지 우리를 기쁘고 즐겁게만 만들어 놓을 아니라 인생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습니다. 인생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경험은 사람의 인생을 전혀 새로운 것으로 만들게 됩니다.

 

오늘 우리가 읽은 성경구절 속에서도 바로 그런 사람이 나옵니다. 그는 구레네 사람 시몬입니다. 그는 알렉산더와 루포의 아버지였습니다. 또한 시골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그냥 예루살렘에 일이 있어서 수도에 왔던 뿐입니다. 또한 사람들이 잔뜩 모여서 웅성웅성 하기에 다가와 구경한 뿐입니다. 또한 좀더 자세히 보기 위해서 바짝 다가와서 무엇때문에 소동인가를 확인하려고 했던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바로 자기 앞에서 십자가를 메고 가시던 예수님께서 쓰러지셨습니다. 예수님은 이미 전부터 채찍에 맞았고 고초를 당해 모든 기력이 쇠하여진 상태였습니다. 예수님을 끌고 가던 로마 군병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예수님을 끌고 가려고 했지만 예수님은 도저히 몸조차 가눌 수가 없었습니다. 자기들이 십자가를 지고 판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구경하던 중에 사람을 불렀습니다. 그리고 그가 바로 구레네 사람 시몬이었던 것입니다. 

    "[]15:21       마침알렉산더와 루포의 아버지인 구레네 사람 시몬이 시골로부터 와서 지나가는데 그들이 그를 억지로 같이 가게 하여 예수의 십자가를 지우고"

그래서 시몬은 예수님 대신에 십자가를 지게 되었습니다. 엉겁결에 그는 예수님을 목격하였고 그를 경험하였습니다. 예수님이 지던 십자가를 보았을 십자가가 그렇게 무거운 줄은 차마 몰랐습니다. 보통 사람이 십자가를 지고 가는 것이 그렇게 고통스러운지 몰랐습니다. 십자가를 세우게 골고다 언덕까지 십자가에 못이 박혀 매달리기 위해서 구레네 시몬은 십자가를 대신 끌고 가고 예수님은 간신히 몸을 가누며 군병들에게 이끌려 갑니다. 그분의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보면서 구레네 시몬은 생각합니다. ‘도대체 이분은 무슨 죄를 지었길래 이렇게 모진 고통을 당하는가!’

 

그리고 예수님의 죄목이 무엇인지를 살펴봅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는 이유는유대인의 이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유대인들을 지배하고 있던 로마군인들이 예수님께서 저항운동을 하고 로마에 대적했기 때문에 그를 유대인의 왕이라고 해서 죽이는 것이라고 생각할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죽여달라고 했던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기들에게는 왕이 필요없는데 자꾸만 예수님이 자신을 왕이라고 했기 때문에 화가 났던 것입니다. 자신들에게는 지금까지 나름대로 지켜온 자신들의 법이 있었는데 예수님이 자꾸만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해서 이래라 저래라 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을 신성모독으로 몰아갔습니다. 로마군인들의 손을 빌어서 그를 죽이고 있었습니다.

결국 예수님이 죽으시는 이유는 왕이 필요없던 유대인들에게 왕이 되셨기 때문인 것입니다. 정말로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셨고 유대인들의 왕이었지만 예수님은 자신의 백성들로부터 죽임을 당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예수님의 죄목과 그로 인해서 십자가를 지셔야 하는 예수님의 모습은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죽고 싶지 않고 고통을 당하고 싶지 않은 것이 인지상정인데, 예수님은 고통을 피하려 하지 않으시는 것일까요? 조금도 피하려거나 혹은 억울해 하지 않으실까요? 자발적으로 기꺼이 고통을 감수하면서 십자가를 지시는 것일까요? 주님이 십자가의 고통을 피하거나 줄이려는 것이 전혀 아니었다는 것을 우리는 다음 성경구절에서 발견할 있습니다.  

    “[]15:23        몰약을탄 포도주를 주었으나 예수께서 받지 아니하시니라

    몰약을 포도주는 마취제 역할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십자가에 달리는 죄수들은 고통이 끔찍하기 때문에 대부분 포도주를 마시면서 고통을 덜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고통마저도 피하지 않으셨습니다. 마취제인 포도주를 마시면 충분히 견딜만 했지만 그분은 포도주를 마시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면서 하루종일 십자가에 못이 박힌채로 매달려 있으면서 겪게되는 모든 고통과 괴로움을 감당하신 것입니다.

    구레네사람 시몬은 이것을 의아하게 여겼습니다. 도대체 예수님은 그러신 것일까요? 유대인의 왕이라는 억울한 죄명도 죄명이지만 몰약을 포도주까지도 거부하시는 모든 행위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이것을 궁금하게 여긴 또 다른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에디오피아 내시였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에 들렀다가 다시 본국으로 돌아가는 길이었습니다. 길중에서 그는 이사야서를 우연히 읽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내용이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내용은 이런 것이었습니다.

    []8:32          읽는 성경 구절은이것이니 일렀으되 그가 도살자에게로 가는 양과 같이 끌려갔고 털 깎는 자 앞에 있는 어린 양이 조용함과 같이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8:33 그가 굴욕을 당했을 때 공정한 재판도 받지 못하였으니 누가 그의 세대를 말하리요 그의 생명이 땅에서 빼앗김이로다하였거늘

    이유를 알지 못해서 궁금해 하던 에디오피아 내시에게 빌립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내용이 가리키는 사람이 누구이며 그는 그런 일을 감당해야만 했는가를 알려주었습니다. 그것은 이사야 53장에 나오는 바로 구레네사람 시몬이 목격하였던 예수님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사지로 가는 양처럼 끌려가신 이유는, 깎는 앞에서 잠잠한 양같이 자신을 죽이는 사람들 앞에서 입을 열지 않으신 이유는 그분이 바로 그들을 위해서 죽으시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죽이는 자들을 위해서 죽으셨습니다. 그들의 죄를 사하기 위해서 죽으셨던 것입니다. 그들의 살아오면서 지었던 모든 죄를 사하시기 위해서, 그들이 자신을 죽이는 죄까지도 참으시면서 예수님은 그렇게 십자가에서 죽으셨습니다. 애초부터 인간의 모든 죄를 용서하시기 위해서 예수님은 이세상에 오셨고, 진실로 땅에서 그들의 죄를 사하기 위해서 죽으시는 유대인의 왕이셨던 것입니다.

    예수님의 죽으심이 어떻게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며, 그것이 어떻게 우리 죄악을 씻기는 것이며, 그것이 어떻게 백성의 허물을 사하기 위함인가 하면, 그렇게 하기로 하나님과 예수님이 언약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세상 사람들의 죄를 심판하시는데 만약 예수님이 그들의 죄를 대신 지고 죽으면 모든 세상 사람들의 죄를 사하시기로 약속하셨던 것입니다. 그래서 언약은 하나님과 예수님 사이에 이루어진 일입니다. 성경은 그것을 우리들에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모든 고난과 고통을 감수하시면서 십자가에서 죽으셨던 것입니다.

    에디오피아내시는 이것을 궁금하게 여기면서 이와 관련된 것을 더욱 듣고자 하였을 때 빌립을 만났습니다. 빌립을통해 그는 세상을 사랑하셨던 예수님의 모습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구레네 사람 시몬이 경험했던 예수님의 모습의 비밀이었습니다. 그 놀라운 경험이 그가 빌립에게서 세례를 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다시 구레네 사람의 이야기로 돌아와서예수님의 의아한 죽으심을 목격한 구레네 사람 시몬은 장면을 잊을 수가 없었습니다. 날마다 죽으시는 예수님의 모습이 생각났습니다. 자신은 그저 예루살렘에 볼일이 있어 갔던 뿐인데 그곳에서 목격한 예수님의 죽으심은 그의 마음을 온전히 휘집어 놓았습니다. 이윽고 예수님에 대해서 알고 있는 제자들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이 이미 하신 말씀들에 대해서 들었습니다. 또한 후에 다시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경험 이후에 시몬은 더욱 예수님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주님을 믿기로 결심했습니다. 자기 백성의 죄를 사하기 위해서 오신 그분을 진정한 왕으로 받아들이기로 것입니다. 그것은 죽을 죄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살리는 의였습니다. 그것을 믿고 고백하는 자들이 모든 죄의 용서를 받게 하는 진정한 죄사함의 은혜였습니다.

이와 같이 구레네 시몬도 나중에 시간이 흘렀을 자기 자신과 자신의 가족이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믿음에 대해서 사도 바울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16:13        주안에서 택하심을 입은 루포와 그의 어머니에게 문안하라 그의 어머니는 곧 내 어머니니라

루포의 아버지가 바로 구레네사람 시몬이었습니다. 원래 시몬은 알렉산더와 루포의 아버지로 소개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만남이 사람의 삶을 변화시켰습니다. 그와 가족이 구원을 받는 놀라운 일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만남이 다가 오고 있습니다. 만남은 바로 성탄절에 만나는 예수님의 탄생입니다. 12월이 바로 예수님의 모습을 생각하게 하며 경험하게 합니다. 물론 예수님 자신이 다시 이세상에 내려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경험한 자들의 모습이 이세상에서 우리에게 들려지고 보여지고 경험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모습은 한결같이 우리를 위해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우리도 구레네 사람 시몬처럼 사람을 바라보지 말고 예수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우리를 위해서 피를 흘리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를 위해 왕으로서 죽으신 것을 생각하십시오. 우리를 위해서 다시 살아나셔서 부활하신 것을 기억하십시오. 그리고 우리를 위해 땅에 오신 것을 생각하십시오. 구레네 사람 시몬이 만났던 예수님을 만나고 경험하며 그분이 정말로 우리의 왕이었음을 믿게 되시는 여러분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729 23사
23사59 여호와의 손이 짧아 구원치 못하심이 아니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2 15 2398
728 성교육
50빌 3; 1-9 가장 고상한 지식은 무엇인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30 0 961
727 자녀발전
12왕하 17; 24-28 하나님의 법과 우상의 법으로 가르침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1-26 1 1656
726 순발력
44행16; 6-10 목표의 전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27 10 2452
725 인내심
47고후 4;7-18 능력은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않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28 1 2061
724 담대함
23사57;1-15 주를 경외함으로 얻는 것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22 10 3106
723 23사
23사45 나를 알고 불러주시는 하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24 10 1883
722 직장발전
44행 7; 51-60 스데반의 부르짖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2 14 2643
721 수면원활
10삼하 4;5-12 이스보셋의 최후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10 14 4173
720 40마
40마 28; 1-10 예수님이 누우셨던 곳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15 2 1723
719 신체건강
47고후 7;10-11 구원을 이루는 근심 사망을 이루는 근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1 15 2578
718 45롬
45롬 2;17~29 내면의 변화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4 10 2102
717 가정화목
11왕상 3; 1-10 하나님의 마음에 든 솔로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09 1 1863
716 성능력
58히11; 1-12 믿음으로 한 일의 내용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2 15 4089
715 직장발전
35합 1 악인들을 통해서 하나님이 이루시는 것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08 11 2167
714 성교육
51골 3; 25- 4; 2 세상을 다스리시는 하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11 0 951
713 신앙성숙
45롬15; 14-33 복음을 편만하게 전함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7 10 2850
712 43요
43요 21; 15-17 목표를 새롭게 하시는 주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07 15 2274
711 음식절제
40마 4; 23-25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24 0 1839
710 성정체성
6수 9; 3-7 기브온 거민들의 속임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24 13 2459
709 9삼상
삼상19, 사울도 선지자중에 있느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02 17 4013
708 자녀발전
3레 5; 14-19 여호와의 성물에 대한 범죄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08 3 1921
707 쾌활함
40마 5; 1-12 여덟 가지 복이 있는 사람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1 1 1787
706 47고후
고후12, 이제까지 말한 것의 목적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26 12 3342
705 11왕상
11왕상 14; 1-20 여로보암의 아들의 죽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5-12 1 1968
704 가정화목
45롬11; 11-16 시기함의 구원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09 11 2332
703 신앙성숙
46고전 3; 1-9 하나님과 함께 하는 동역자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12 4 2226
702 사고원활
23사12; 1-6 구원의 우물에서 물을 길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19 13 2137
701 23사
23사 1;10-20 헛된 제물을 가져오지 말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30 9 2122
700 성능력
66계21; 9-27 거룩한 성 예루살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30 12 2576
699 성능력
9삼상 24; 1-7 죄를 피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능력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22 14 3624
698 40마
40마 16; 13-18 내 교회를 세우리라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5-05 0 1862
697 기억력
55딤후 2;8-13 다시 사신 예수를 기억하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3 11 2513
696 43요
43요12 헬라인들을 통해 인자의 영광을 말하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13 10 2409
695 7삿
7삿 9; 46-57 모든 악을 갚으시는 하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08 2 2032
694 43요
43요20평강을 받아 믿는 자가 되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29 15 2436
693 23사
23사60 여호와의 영광이 우리에게 임할 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9 12 1816
692 담대함
50빌 3; 5-9 하나님께로부터 난 의가 무엇인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7 0 936
691 12왕하
12왕하18;1-8 온전하게 하나님을 의지하는 방법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2-02 1 2262
690 44행
44행16; 11-15 자주장사 루디아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04 13 3489
689 성정체성
47고후 5; 15-17 새로운 피조물이 할일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05 1 1763
688 순발력
23사 59;1-21 여호와가 구원하지 못하심이 아니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09 10 2296
687 23사
23사46 하나님은 우리를 노년에 이르기까지 품어주신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7 14 1992
686 44행
44행 8; 14-17 세례와 성령받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9 11 2830
685 10삼하
10삼하 5; 1-5 다윗이 왕위에 등극하게 됨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16 23 3867
684 자녀발전
40마 28; 11-20 막는 군병들과 전하는 제자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23 0 2101
683 인내심
43요17;1-2 우리를 위해 희생하신 예수 그리스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1 11 2748
682 45롬
45롬3; 9~22 차별이 없는 하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17 11 2225
681 자녀발전
11왕상 3; 11-15 솔로몬이 간구하지 않은 것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16 0 1741
680 58히
58히11; 13-19 아브라함의 커다란 믿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10 27 381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