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243)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8상담]] 42눅 23; 39-43 죄인을 용서해 주시는 예수님의 은혜



Loading the player...


Loading the player...


*

 

  

4223; 39-43 죄인을 용서해 주시는 예수님의 은혜_2c

  

 

  

2019. 8. 18. . 주일오후.

  

 

  

*개요:  상담비전, 하나님의 여섯 가지 은혜,

  

[]23:39            달린 행악자 중 하나는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23:40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23:41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23:42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23: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예수님의 용서의 은혜는 우리가 너무나 많이 들었던 내용입니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그 용서의 은혜에 기반해서 믿는 자가 되었습니다. 용서가 아니라면 우리는 믿는 자가 될 수 없습니다. 용서가 아니라면 구원받을 수 없습니다. 용서가 아니라면 천국을 사모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믿지 않고 구원의 확신이 없으며 천국을 바라보지 않는 사람들은 대개 용서의 은혜를 잘 모릅니다. 그래서 더욱 악순환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그 용서의 은혜를 잘 이해하고 깨달으며 사모해야 하겠습니다.

  

용서의 은혜를 설명할 때 다음과 같은 도형을 통해서 잘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용서는 삼각형의 계층 구조에서 가장 상위로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용서가 잘 이해되지 않는 것은 상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중위나 하위에 머무르게 될 때 일어납니다. 예수님의 용서는 우리를 하위에 머무르게 하시는 것이 아니고 중위에 있게 하시려는 것도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용서는 상위에 오르게 하시는 은혜입니다. 그것을 우리가 다 누리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서의 은혜를 깨닫지 못할 때 그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우리는 성경 말씀을 통해서 그 용서의 크고 넓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오늘 말씀에는 십자가에 달린 두 사람이 나타납니다. 한 사람은 예수님을 비방하는 사람이었고 다른 한 사람은 그 사람을 꾸짖고 예수님을 옹호하는 사람이었습니다.

  

“[]23:39           달린 행악자 중 하나는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23:40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이러한 입장의 차이는 각각이 자신과 예수님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나뉘었습니다. 첫 번째 사람은 자신이 억울하고 죄가 없고 예수님은 그리스도라고 말하지만 무능력하고 구원할 수 있을 것도 같지만 그렇지 못할 것도 같은 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 십자가에서의 구원으로 신비한 능력이나 기적적인 능력으로 십자가에 나가게 하기를 바랬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사람은 달랐습니다. 그는 자신을 죄인으로 생각했고 정죄를 받는 자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자임을 자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런 생각을 하지 못하는 첫 번째 강도를 꾸짖을 수 있었습니다.

  

 

  

완전히 다른 이와 같은 입장 차이 속에서 그들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죄수에게는 자신은 제일 억울하고 그 다음이 다른 죄수이며 제일 당연한 사람이 예수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에게 예수님께서는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용서의 은혜를 깨닫는 자도 아니고 그 은혜를 구하는 자도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첫 번째 죄수처럼 용서의 은혜를 알지 못합니다. 그렇게 되는 이유는 그들이 자기 중심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행하신 것을 알지 못합니다. 항상 하나님은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잘 채워주지 못하는 집사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정말 깨달아야 하는 것은 보상이 아니라 상급입니다. 예수님은 그러한 상급을 지금도 허락해 주십니다.

  

 

  

그러나 두 번째 죄수는 달랐습니다. 그는 자신의 위치를 자각했습니다. 또한 그런 면에서는 자기 죄를 알지도 못하는 다른 죄수로와도 달랐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위치를 올바르게 이해했습니다. 그가 예수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살펴봅니다.

  

“[]23:41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23:42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예수님의 행하심은 옳지 않은 것이 없다고 고백하면서 예수님이 참된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그리스도이심을 시인했습니다. 예수님은 바로 그 하나님의 아들되심 때문에 죽으시는 것이었는데 그것을 인정하고 시인하는 사람이 바로 이 죄수였던 것입니다. 그럴 때 그는 예수님 아래에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보다 더 높은 분이셨습니다. 그 높은 분이신 예수님께 그는 용서를 구했습니다. 나를 기억해 달라는 것은 나의 죄를 용서해 달라는 의미였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사람에게 예수님께서는 응답하셨습니다.

  

“[]23: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주님이 죽어가시면서 고통 중에서 말씀하셨던 말씀들이 몇개 없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이와 같은 용서의 말씀이었습니다. 주님은 그 죄수를 낙원으로 받아주셨습니다. 낙원 밑의 연옥에 보내시는 것이 아닙니다. 낙원 밑의 림보에 오게 하시는 것도 아닙니다. 낙원 밑의 그 어떤 장소도 아닙니다. 오직 예수님은 그를 낙원에 자기와 함께 있게 하셨습니다. 온전한 용서를 해주신 것입니다.

  

 

  

이러한 용서를 우리가 받았습니다. 그래서 그 용서는 우리를 예수님이 계시는 가장 높은 곳에 올리시는 용서입니다. 그것을 잊어버리면 안됩니다. 우리는 또한 그러한 용서의 은혜를 사모하고 그 은혜 속에서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항상 죄인이고 예수님은 항상 옳지 않은 것이 없는 분이십니다.

  

용서의 은혜를 누리는 방법은 그 예수님의 용서를 기억하면서 해야 하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마치 절벽을 올라가는 방법을 끊임없이 연습하면서 올라가는 것과 같습니다.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고 올라가려고 할 때 비로소 올라갈 수 있습니다. 탕자도 아버지의 용서를 구하려고 할 때 아버지에게로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그 용서를 구할 때에 우리는 예수님께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용서 속에서 우리는 예수님과 함께 있게 됩니다. 주님은 우리를 구원하시고 승리하신 분이십니다. 그 승리 속에 함께 있는 자들이 바로 우리들입니다. 그래서 용서의 은혜 속에서 날마다 살아야 하고 그럴 때 예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을 항상 깨달을 수 있습니다.

  

용서의 은혜가 얼마나 귀중한가를 깨닫고 그 은혜를 항상 묵상하고 사모함으로 용서 속에서 기쁨의 삶을 살아가는 귀한 성도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8상담]
42눅 23; 39-43 죄인을 용서해 주시는 예수님의 은혜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8-18 1 276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