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370)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4구원론]] 44행10; 9-16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 하더라2

 

44행10; 9-16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 하더라2_0

 

 2012.10.28.주. 주일학교, 주제-충만

 

*개요    [6감정-인내]~[5은혜-동행]

 

9    이튿날 저희가 행하여 성에 가까이 갔을 그 때에 베드로가 기도하려고 지붕에 올라가니 시간은 제 육시더라

10    시장하여 먹고자 하매 사람이 준비할 때에 비몽사몽간에

11    하늘이 열리며 한 그릇이 내려오는 것을 보니 큰 보자기 같고 네 귀를 매어 땅에 드리웠더라

12    그 안에는 땅에 있는 각색 네 발 가진 짐승과 기는 것과 공중에 나는 것들이 있는데

13    또 소리가 있으되 베드로야 일어나 잡아 먹으라 하거늘

14    베드로가 가로되 주여 그럴수 없나이다 속되고 깨끗지 아니한 물건을 내가 언제든지 먹지 아니하였삽나이다 한대

15    또 두번째 소리 있으되 하나님께서 깨끗케 하신 것을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 하더라

16    이런 일이 세번 있은 후 그 그릇이 곧 하늘로 올리워 가니라

 

 

1. 사람들은 먹어보지 못한 음식과 해보지 않은 일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

 

때로 우리는 처음 해보는 일들을 불편하게 생각해서 하지 못하는 때가 있습니다. 먹어보지 않은 음식에 대해서 거부감을 갖습니다. 가보지 않은 장소에 대해서 불편하게 생각합니다. 만나보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 두려움을 갖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먹는 것만 먹게 됩니다. 가본 곳만 가게 됩니다. 그리고 만나는 사람만 만나게 됩니다. 바로 그럴 때 그 모든 일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른 것이 아닙니다. 돈이 없어서가 아니고 시간이 없어서가 아니고 환경이 어려워서가 아닙니다. 문제는 내가 그렇게 하는 것이 불편하게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 그것이 우리를 새로운 것에 접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물론 그 당시에는 그런 거부감으로 새로운 것을 접하지 못하게 되는 것에 대해서 아무런 불편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들은 도리어 되물을 것입니다. ‘그게 뭐 어떤가? 그래서 삶에 아무런 불편함이 없는데 무슨 상관인가?’할 것입니다. 물론 그 당시에는 그렇습니다. 하지만 나중에는 생각이 달라집니다. 그 불편하게 생각되었던 거부감이 없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때에는 이미 시간이 너무 늦어버려서 다시는 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러면 깊은 후회가 생깁니다. 그 후회속에서 과거는 자꾸만 떠올려지고 잊혀지지 않는 과거가 됩니다. 틈만나면 그 때로 돌아갑니다. 왜 그랬을까, 그렇게 하지 말걸…이런 후회가 가슴을 가득 파고 듭니다. 그런 후회가 드는 이유가 뭔지 아십니까? 바로 방금 제가 말씀드린 대로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때문에 선한 것을 행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바로 후회가 계속 생기는 이유인 것입니다.

 

예를 들면, 키가 너무 왜소해서 왜 그때 고기를 좀더 먹지 않았을까 후회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후회하는 것은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었습니다. 결혼을 하지 못해서 후회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후회하는 것은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에 대한 거부감입니다. 여행을 하지 못해서 후회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후회하는 것은 알지 못하는 새로운 장소에 가는 것에 대한 거부감입니다. 이런 저런 거부감때문에 먹지 않았고 만나지 않았으며 가보지 않은 것이 후회거리이고 그것이 삶의 큰 고통이 되는 것입니다. 새로운 일에 대한 거부감이 선한 일을 하지 못하게 만들었습니다.

 

 

2. 하나님은 주님의 인도하심 속에서 그러한 개인적인 한계를 극복하기를 원하신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동일한 거부감 때문에 아무 것도 못하게 되기를 원하지 않으십니다. 세상에 살면서 세상에 속해 있지 않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세상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거부감으로 인해 동일하게 손과 발이 묶이고 관계와 역할이 묶여서 이 세상 어딘가에서 이름도 없이 의미도 없이 살아가게 되기를 원치 않으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습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우리의 한계를 뛰어 넘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맛보지 않은 것을 맛보게 하시며 우리가 만나보지 않은 사람을 만나게 하시며 우리가 가보지 않은 곳에 가게 하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이렇게 하시는 이유는 그 음식은, 그 사람은, 그 장소는 하나님께는 너무나 익숙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비록 우리에게는 생소하지만 하나님께는 너무나 친밀합니다. 하나님이 그 모든 것을 만드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하나님은 하나님이 만드신 음식을 맛보게 하기를 원하십니다. 우리에게 하나님이 만드신 사람들을 만나게 하기를 원하십니다. 우리에게 하나님은 하나님이 만드신 장소에 가보기를 원하십니다. 그것을 우리가 거부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능력을 제한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거부하는 것뿐입니다.

 

오늘 말씀에서 하나님은 지붕 위에서 기도하고 있던 베드로에게 환상을 보여주셨습니다. 그 환상은 하늘에서 한 그릇이 내려오는데 그 그릇은 네 귀퉁이를 매어 땅에 드리워진 보자기 안에 담겨 있었습니다. 마침 그 환상이 보여지던 때는 식사시간이어서 안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식사를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결혼을 했었기 때문에 아마 아내가 이것 저것을 준비하고 있었겠지요. 그래서 시장기를 느꼈던 베드로는 그 안에 혹시 먹을 것이 있는가 하고 들여다 보았는데 놀랍게도 그 그릇안에는 온갖 먹을 수 없는 것들이 가득 담겨있었습니다. 그 안에는 각양각색 네 발 가진 짐승이 있었습니다. 기는 것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공중에 나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유대인이었던 베드로가 원래 먹는 음식은 정결한 소나 양이나 염소 정도 였는데 그릇 안에 담긴 것은 도저히 먹을 수 없는 혐오스럽고 부정해 보이는 음식들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베드로는 기겁을 하고 물러섰는데 하늘에서 소리가 들리기를,

‘베드로야 일어나 잡아먹으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음성이 하나님의 음성임을 깨닫기는 하였지만 그 것들을 먹는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한 베드로는 일언지하에 거절했습니다.

‘주여 그럴 수 없나이다, 속되고 깨끗지 아니한 물건을 내가 언제든지 먹지 아니하였삽나이다’

 베드로가 그렇게 생각한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우리라도 그랬을 것입니다. 아무리 주님이라도 먹지 못하는 것은 먹지 못하는 것입니다. 부정하여 율법에서 금한 것을 둘째치고라도 평소에 먹어보지 않던 것을 먹을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때 주님은 대답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깨끗케 하신 것을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

주님은 그렇게 말하는 베드로의 대답을 받지 않으셨습니다. 베드로에게 주님이 말씀하신 것은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이 깨끗하게 하신 것을 네가 더럽다고 하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일이 세 번 반복되었습니다. 마치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세번 물으신 것처럼 이일이 세 번 반복됨으로써 정말 이것이 중요한 하나님의 뜻임을 베드로에게 보여주셨습니다.

 

그 환상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요? 그것은 이방인 전도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보여주었습니다. 바로 그 환상이 있자마자 베드로 집에 도착한 사람들은 이방인인 백부장 고넬료가 보낸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베드로를 통해 복음을 듣고 싶어 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고넬료에게 베드로를 통해 복음을 들으라고 하셨기 때문에 그들은 베드로를 초청했던 것입니다. 베드로는 깨달았습니다. 그 그릇안의 부정한 것들이 바로 이방인들이라는 것을 말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잡아 먹는 것은 그들에게 복음을 증거하라는 하나님의 뜻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던 것입니다.

하나님은 바로 그렇게 베드로에게 환상을 보여주심으로 복음전파의 한계를 넘게 되기를 원하셨습니다. 이방인에게도 복음을 전해서 복음이 유대인에게만 전해지지 않게 되기를 원하셨던 것입니다. 하나님은 베드로의 그 개인적인 생각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게 하시기 위해서 그런 환상을 보여주셨습니다.

 

 

3. 왜냐하면 그 일을 통해 우리의 삶을 더욱 새롭고 풍성하게 채워주려고 하시기 때문이다.

 

분명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음식, 처음 만나는 사람, 가보지 않은 장소 등등은 결코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경험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싫어하고 우리가 불편한 것만 생각하지 말고 그것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뜻이 무엇일까를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하나님은 그런 음식을 먹고, 그런 사람을 만나고, 그런 곳에 가 봄으로써 우리의 삶을 더욱 새롭고 풍성하게 채워주시려고 하십니다. 그런 새로움 속에서 우리의 삶은 더욱 풍성해집니다. 우리의 한계가 더욱 넓어집니다. 어쩌면 우리의 한계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욱 넓어질 것입니다. 우리의 삶이 편협하고 제한된다면 우리의 사고는 너무나 경직되고 지나치게 왜곡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경험이 많아지고 우리가 스스로 생각하는 한계를 조금씩 더 극복할 때에 우리는 발전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바로 그런 이유때문에 우리에게 새로운 경험을 해보게 하시는 것입니다. 결코 우리를 괴롭히고 병들게 하고 골탕먹이려고 그런 경험을 하게 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목사님의 딸은 먹지 않는 음식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녀들에게서 보는 현상입니다. 부모에게 자녀들은 자신과 비슷해지기를 바라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있고 그것은 대개 처음 먹는 음식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우리 딸은 팥을 안먹습니다. 그리고 고구마 향이 들어간 것도 안먹습니다. 그래서 팥빵을 안먹고 고구마케익을 안먹습니다. 저는 그모습을 볼 때 안타깝습니다. 팥이 얼마나 맛있는데 그걸 안먹을까, 고구마맛이 얼마나 달콤한데 그걸 안먹을까, 답답하기도 합니다. 절대로 먹을 수 없는 것을 주는 것이 아닌데도 늘 먹는 것을 주는 것인데도 그걸 안먹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물론 나름대로 다 이유는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한 점입니다.

 

 

4. 우리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서 자신의 신앙수준에서 한걸음 나아가야 한다.

 

이것은 신앙생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먹어보지 않은 음식을 먹게 하는 것처럼 신앙에서도 이전과는 다른 신앙의 수준을 요구할 때가 있습니다. 교회를 다녀보지 않던 사람에게는 교회를 꾸준히 다닌다는 것은 너무도 어려운 일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럼으로써 얻는 것은 신앙심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 믿음은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강력한 힘입니다. 그냥 주일예배만 나왔다면 성경공부를 한다는 것은 너무나 부담스러운 일일것입니다. 그러나 성경공부를 통해서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믿음이 단지 믿음으로만 끝난다면 아쉬운 일이지만 더 나아가 구원의 확신까지 가질 때 그 확신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 나라에 간다는 확신은 이 세상에서 어떤 일을 겪어도 쓰러지지 않도록 붙들어 주는 큰 소망이 됩니다. 

 

 이 모든 성장과 발전 속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하나님이 주신 음식을 먹고 하나님이 만나게 하는 사람을 만나고 하나님이 가게 하는 장소에 가는 것입니다. 그것에 순종할 때에 우리는 성장하고 발전하게 됩니다. 또한 우리를 채우시고 충만하게 하시려는 주님의 뜻을 깨닫는 것입니다. 우리가 여전히 ‘그것은 정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라고 끊임없이 거부할 때에 우리는 우리의 한계에 계속해서 머무르게 될 뿐입니다.

 

주님의 인도하심을 따르는 여러분 되시기를 바랍니다. 주님이 여러분을 죽이시겠습니까? 주님이 여러분을 망가뜨리시겠습니까? 주님이 여러분을 해치겠습니까? 주님께서 정결하게 해서 주신 그것을 먹고 마심으로 여러분의 삶이 더욱 풍성하며 발전되기를 축원합니다. 그로 인해서 여러분의 삶이 더욱 영적으로 건강해지며 이 세상에서 빛과 소금이 되는 귀한 인생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400 [4구원론]
42눅10 영생을 얻도록 가르쳐주시는 선생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29 5 1713
399 [4구원론]
58히11;6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가야 한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09 5 1952
398 [4구원론]
43요 1:44-51 나다나엘이 만난 예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29 9 1942
397 [4구원론]
45롬12; 1-3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면서 산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4 10 2395
396 [4구원론]
44행16;30-31 나와 우리 가족이 구원을 얻는 방법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02 8 2603
395 [4구원론]
1창 3; 1-7 아담은 어떻게 범죄하게 되었을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09 8 2207
394 [4구원론]
1창 3;19 인간이 죽음에 이르게 된 이유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05 5 1920
393 [4구원론]
40마 4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7 9 1808
392 [4구원론]
43요11 예수님은 나의 부활이요 생명이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6 7 1568
391 [4구원론]
1창 3; 8-12 인간은 범죄후에 어떻게 되었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16 6 1895
390 [4구원론]
43요 1;43-48 나다나엘을 부른 빌립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21 9 2173
389 [4구원론]
43요20; 26-31평강을 받아 믿는 자가 되라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14 7 1415
388 [4구원론]
19시19;12-14 죄에는 원죄와 자범죄가 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24 7 2408
387 [4구원론]
58히11;1-3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3 7 2358
386 [4구원론]
45롬12; 9-13 거짓이 없는 사랑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09 7 1650
385 [4구원론]
42눅 24 성경을 풀어주실 때에 마음이 뜨거워진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5 7 1689
384 [4구원론]
46고전15; 12-22 죽은 자의 부활은 우리의 본질이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16 6 1531
383 [4구원론]
58히11;4 믿음으로 더 나은 예배를 드리는 사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5 10 2036
382 [5교회론]
40마16; 13-18 내 교회를 세우리니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17 9 1679
381 [5교회론]
45행2; 43-47 교회의 영광과 찬송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07 7 1675
380 [5교회론]
46고전11; 23-26 성찬의 의미와 효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05 6 1890
379 [5교회론]
40마 26;26-29 성찬의 기원과 방식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12 9 1889
378 [5교회론]
46고전 11; 27-34 성찬에 어떻게 참여해야 하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18 5 1989
377 [5교회론]
44행 16;31-34 가정예배의 목적과 의미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25 7 2247
376 [5교회론]
49엡 1; 4-6 하나님께서 우리를 교회로 부르신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01 10 2449
375 [5교회론]
49엡 4;11-16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29 6 2301
374 [5교회론]
44행12; 1-12 기도하는 교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26 8 1776
373 [5교회론]
46고전 1;2-3 교회는 하나이며 그리스도의 지체이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07 6 2070
372 [5교회론]
66계 7;9-10 천상교회의 존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3 6 1985
371 [5교회론]
62요일 4;1-3 교회의 특징은 무엇인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20 7 2106
370 [5교회론]
56딛 3;8-11 교회를 지키기 위해 하는 일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27 5 1902
369 [5교회론]
44행2; 42-47 교회에서 하는 일들은 무엇인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16 6 2269
368 [5교회론]
51골 1;18-20 교회의 머리는 그리스도이시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03 12 2700
367 [5교회론]
55딤후 1;13-14 교회의 세가지 영적 권세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10 6 2403
366 [5교회론]
43요20;19 주일에 금할 일과 해야할 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17 13 2031
365 [5교회론]
40마 6; 5-6 하나님께 기도드리는 방법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24 7 2515
364 [5교회론]
39말 3;8-10 헌금을 어떻게 드려야 하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31 8 1862
363 [5교회론]
44행20;28-31 교인의 권리가 무엇인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4 9 1951
362 [5교회론]
40마16; 13-18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이기지 못하리라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23 6 1605
361 [5교회론]
54딤전 3; 15 거룩한 공회와 성도의 교제를 믿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24 10 3747
360 [5교회론]
54딤전3; 14-16 진리의 기둥과 터인 교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09 5 1567
359 [6종말론]
40마24; 3-8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 일어날 일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27 7 1959
358 [6종말론]
66계20; 4-15 다시 사는 자들과 다시 죽는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23 9 1463
357 [6종말론]
40마 24;34-37 재림의 시기와 방법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2 6 2033
356 [6종말론]
45롬 2; 6-8 예수님이 재림하시는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9 5 1980
355 [6종말론]
42눅 2;21-24 태어나신 후에 성전에 올라가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04 9 1786
354 [6종말론]
66계1; 4-8 산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16 8 2726
353 [6종말론]
44행 3;19 진정한 회개의 모습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01 9 2098
352 [6종말론]
40마 2;1-2 동방박사들의 여행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10 6 2057
351 [6종말론]
21전 12;7 육체적인 죽음의 의미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28 7 2193
350 [6종말론]
40마 26; 28 죄사함과 부활과 영생을 믿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07 9 3317
349 [6종말론]
42눅16;22-23 사람이 죽으면 가게 되는 곳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12 7 2130
348 [6종말론]
43요 5; 28-29 개인적인 종말과 우주적인 종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20 11 2147
347 [7교육]
58히 11; 38-40 후대로 인해서 완전함을 얻는 자들 (데린구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1 1 990
346 [7교육]
66계 3; 14-22 차든지 뜨겁든지 해야 하는 교회(라오디게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8 1 828
345 [7교육]
51골 4; 12-16 히에라볼리에 있는 자들을 위하여(파묵칼레)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25 0 812
344 [7교육]
66계 3; 7-13 인내의 말씀을 지키고 기둥이 되는 교회 (빌라델비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1 1 856
343 [7교육]
44행10; 9-16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 하신 하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02 0 3098
342 [7교육]
66계 3; 1-6 흰 옷을 입고 주와 함께 다니는 자들(사데)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8 0 914
341 [7교육]
4민14;1-10 하나님과 함께 가지 않은 이스라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09 0 3067
340 [7교육]
66계 2; 18-29 만국을 다스리는 권세를 받는 자들(두아디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15 1 934
339 [7교육]
44행 11; 12-18 내가 하나님을 막을 수 있는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16 1 2952
338 [7교육]
66계 2; 12-17 흰 돌 위에 새 이름을 기록하심(버가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23 1 945
337 [7교육]
44행 17; 22-27 삶 속에서 하나님은 어디에 계시는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23 2 3105
336 [7교육]
66계 2; 1-7 처음 사랑과 처음 행위를 지켜야 하는 교회(에베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29 0 848
335 [7교육]
11왕상17; 17-21 과거의 죄를 생각나게 하시려는 것인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30 3 3302
334 [7교육]
66계 2; 8-11 환난을 아시고 생명의 관을 주시는 하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06 1 749
333 [7교육]
43요11;33-40 우리를 사랑하셨기에 눈물을 흘리시는 예수님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5 1 3863
332 [7교육]
44행 27; 14-19 광풍으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주님을 찾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13 1 770
331 [7교육]
41막 9; 19-24 믿음이 없는 자들이 예수님을 믿게 되는 이유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2 2 4031
330 [7교육]
44행 17; 16-25 아덴에서 복음을 전파한 사도 바울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20 0 783
329 [7교육]
43요 5; 36-40 성경을 통해서 예수님을 알게 되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20 0 3738
328 [7교육]
44행 17; 28-34 하나님의 설명을 중요하게 여기는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27 0 766
327 [7교육]
41막 5; 25-34 예수님께 손을 내민 자의 믿음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26 1 3823
326 [7교육]
46고전1; 1-9 고린도 교회의 도전과 소명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03 0 730
325 [7교육]
41막 9; 19-24 믿음이 없는 세대가 믿게 되는 이유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4 1 8959
324 [7교육]
46고전 1; 18-25 세상의 지혜와 십자가의 능력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10 0 840
323 [7교육]
58히 11; 7-12 믿음으로 할 수 있는 일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0 0 8869
322 [7교육]
46고전 10; 1-4 그리스도로부터 나오는 신령한 음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17 1 675
321 [7교육]
58히 11; 24-28 우리가 믿음으로 해야 하는 일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8 0 8876
320 [7교육]
46고전 2; 10-16 사람의 일을 아시는 성령께서 보여주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24 0 832
319 [7교육]
58히 11; 33-38 믿음의 관점에서 보는 현재 삶의 의미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5 0 8995
318 [7교육]
19시 18; 1-3 바위 안으로 피하는 성도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01 1 795
317 [7교육]
19시 119; 97-112 말씀을 읽고 받아들이는 방법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31 0 3681
316 [7교육]
52살전 1; 1-7 모든 믿는 자들의 본이 된 성도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08 0 741
315 [7교육]
6수 5; 10-15 가나안 땅의 열매를 먹음의 의미가 무엇인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7 2 3503
314 [7교육]
44행 16; 6-11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15 0 968
313 [7교육]
43요 3; 1-12 그리스도인으로서 알아야 하는 것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2 3392
312 [7교육]
44행 16; 11-15 빌립보에서 만난 루디아의 믿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22 0 743
311 [7교육]
59약 1; 22-27 자신의 얼굴을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0 3387
310 [7교육]
44행 16; 25-34 빌립보 감옥에서 바울이 얻게 된 것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29 1 649
309 [7교육]
51골 1; 12-20 우리를 아들의 나라로 인도하시는 이유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8 2 3282
308 [7교육]
44행 21; 30-34 성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하나님의 일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8-05 0 776
307 [7교육]
58히 11; 36-40 동굴과 토굴에 거하던 사람들 (괴레메 동굴교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4 1 1227
306 [8상담]
44행 28; 21-28 복음을 더욱 듣고자 하는 사람들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3 0 3135
305 [8상담]
11왕상19; 1-10 절망은 쾌락을 추구함에서 생겨난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28 18 4556
304 [8상담]
47고후 10; 3-6 견고한 진을 파하는 강력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13 5 3180
303 [8상담]
44행19; 21-27 복음의 전파와 우상의 약화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08 17 4738
302 [8상담]
55딤후 3; 1-5 쾌락의 욕구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7-07 1 2635
301 [8상담]
9삼상20;27-29 사울과 요나단의 갈등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30 18 441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