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387)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83성숙] 58히11;24-28 우리가 믿음으로 해야 하는 일들

58히11;24-28 우리가 믿음으로 해야 는 일들_2

2010.10.24. 주일오후예배

우리는 앞서 믿음으로 여러가지 축복을 받았던 사람들을 보았습니다. 믿음으로 홍수의 재앙을 피게 된 노아와 믿음으로 기업을 얻게된 아브라함과 믿음으로 아들을 얻은 사라는 전부 믿음으로 나름대로의 유익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믿음을 통해서 무엇인가를 얻은 것입니다. 그럴 때 믿음이 필요합니다. 무엇인가를 얻을 때 믿음이 필요합니다. 지만 무엇인가를 얻고 나서도 믿음은 필요합니다. 왜냐면 그 얻은 것을 어떻게 유지느냐도 역시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우리 교회에서 함께 신앙생활던 이영화 자매는 1학년때 과수석을 했습니다. 그래서 기념으로 교회성도님들에게 떡을 돌리기도 했습니다. 그리고나서 그 다음부터 이 자매는 괴로워기 시작했습니다. 왜냐면 다음 번에도 과수석을 고 싶었는데 그게 잘 안될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그것 때문에 고민도 많이 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내린 결론은 처음 과수석을 한 것도 나님이 도우셔서 한 것이니까 다음번에도 나님의 도우심을 받으면서 나님께 맡기고 맡은 일에 최선을 다기만 자고 했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되었는지 아십니까? 계속 수석을 고 마지막에는 수석으로 졸업을 했습니다.

우리는 삶 속에 한 번 잘게 된 경험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부터 계속 잘해야 는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지만 자신의 힘으로 잘려고 지 말고 나님의 도우심을 받고자 면 여전히 잘 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우리의 이성과 감정은 늘 변화되지만 나님은 변화시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님은 늘 한결같으시기 때문에 그분께 의지한다는 것은 늘 변함이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영화 자매도 늘 끝까지 나님만을 의지했기 때문에 끝까지 승리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오늘 말씀에서 모세가 노아와 아브라함과 사라와 다른 점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모세는 한번 잘했던 사람이었기 때문에 꾸준히 잘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꾸준히 나님을 의지였습니다. 그는 세번 나님을 의지했는데 그가 그렇게 세 번 나님을 의지한 것은 그의 삶에 커다란 의미가 되었습니다. 그가 세 번 구체적으로 나님을 믿음으로 의지함으로써 그는 변함없는 축복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 세 번의 의지함은 무엇이었을까요?

첫 번째, 그는 믿음으로 나님의 백성들과 함께 고난 받기로 결심였습니다. 이것은 그의 삶의 방향을 송두리채 바꾸는 선택이었습니다. 애굽왕 바로의 공주에 의해 강물에서 건져져서 공주의 아들로 자라난 그에게는 두 가지의 선택이 있었습니다. 나는 바로의 공주의 아들로서 살아가는 것이었습니다. 그럴 때 그는 모든 보화를 얻을 수 있었고 윤택고 호화로운 삶을 살 수 있었습니다. 다른 나는 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사람으로 살되 고난을 받고 능욕을 받고 모든 좋은 것을 잃어버리는 삶이었습니다. 여러분 같으면 이 두 가지 삶 속에서 어떤 삶을 선택시겠습니까?

과거 우리가 매우 가난게 살아갈 때 너무 가난게 사는 집안에서는 종종 양자로 다른 집에 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일은 드라마나 영화에서 숱게 나오는 설정이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나고 그래서 전혀 새로운 삶을 살게 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럴 때 두 가지 선택이 가능다고 해봅시다. 나는 매우 부잣집이고 윤택고 호화롭게 살 수 있지만 불교를 믿어야 고 다른 나는 매우 가난게 비참게 살지만 나님을 믿을 수 있다고 해봅시다. 여러분은 어떤 삶을 선택시겠습니까? 그럴 때 꼭 어떤 사람은 부잣집에 가서 나님을 믿겠다고 는데 그러면 그 집에서 엄청난 박해를 받게 된다면 어떻게 시겠습니까? 죽기 전에 나님을 믿겠다고 말는데 그대신 병으로 일찍 죽게 된다면 어떻게 시겠습니까?

모세는 어떻게 했는지를 성경은 우리에게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24절부터 26절까지를 읽어봅시다.
“24. 믿음으로 모세는 장성여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라 칭함을 거절
  25. 도리어 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 받기를 잠시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보다 더 좋아
  26. 그리스도를 위여 받는 능욕을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주심을 바라봄이라”

그의 선택의 핵심이 26절에 나와 있습니다. 그는 무엇을 바라보았다고 했습니까? ‘상주심’을 바라보았습니다. 그 상주심은 눈으로 보이는 것입니까? 귀로 들을 수 있는 것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은 오직 믿음으로만 볼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모세는 믿음으로 상주심을 바라보았습니다. 그 상을 받는 것이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욱 큰 재물로 여긴 것입니다. 모세에게도 재물을 원는 욕구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욕구는 믿음과 연합되었을 때에 보이지 않는 재물을 바라보고 보이지 않는 상을 바라는 마음으로 변화되었습니다. 그래서 모세는 바로의 공주의 아들됨을 거절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받기를 더 좋아였으며 그리스도를 위여 받는 능욕을 더 큰 재물로 여긴 것입니다. 그것이 믿음으로 자신이 받은 모든 축복 가운데서 더 큰 축복으로 나간 사람의 모습이었습니다.

우리 나라에 온 외국 선교사들도 자신의 편안과 유익을 위해서 살 수 있었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 대학을 졸업였고 신학을 공부했으며 의학을 공부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실력으로라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었지만 세상의 보화보다 더 큰 재물을 바라보았습니다. 바로 그리스도를 위여 능욕 받는 것입니다. 그로 인해 얻게될 나님의 상을 바라보면서 그들은 이역 만리 우리나라에까지 왔던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완전한 사람들이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에게 완전치 못함이 있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지만 나님을 믿는 믿음이 그 불완전함을 변화시켰고 그로 인해서 놀라운 나님의 능력이 나타났습니다. 1903년 평양대부흥운동은 한국 교회사에서 매우 유명한 사건인데 그 전에 있었던 원산부흥운동은 바로 평양대부흥운동의 모체가 되는 사건이었습니다. 그때 우리 나라에 의료선교사로 들어온 로버트 디 선교사는 토론토 대학과 의과대학을 마치고 선교사로 들어온 매우 똑똑한 사람이었는데 원산지역에서 기도회를 인도게 되었습니다. 그는 기도회를 준비다가 자신에게 얼마나 인종차별적인 생각이 있고 배운 것에 대한 자신감과 교만함이 있었는지를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기도회 중에 자신의 죄를 회개였습니다. 이것이 듣는 사람들의 마음을 자극였고 여러 사람들의 회개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디 자신은 회개 이후에 거룩함과 성령의 충만함을 입어 그의 목소리와 그의 손길에서 놀라운 능력이 나타났습니다. 이 사건이 결국 평양대부흥운동으로 이어져 전국적인 교회부흥의 시초가 되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예나 지금이나 우리 인간은 자신의 욕심에 사로잡히지 않고 나님의 믿음을 굳게 붙들때에 변화되고 성숙며 승화되었습니다. 모세는 이렇게 바로의 아들됨을 구지 않고 이스라엘 백성됨의 능욕을 피지 않고 나님의 상주심을 바라보며 온전히 나아갔던 것입니다.

모세가 행한 두 번째 의지함은 바로를 만날 때 나님을 의지함으로 그를 두려워지 않은 것입니다. 우리가 받은 은혜를 계속 유지나님께서 주신 축복을 계속 누리고자 한다면 누군가를 두려워면 안됩니다. 그를 두려워여 피게 되면 나님의 축복을 받을 길을 잃어버리고 나님의 은혜를 누릴 수가 없게 됩니다.

저는 예전에 대학에 처음 입학했을 때 도서관에 가는 것을 두려워였습니다. 재수할 때 줄곧 도서관에서만 살면서 미친듯이 공부를 했었는데 그 후유증인지 이상게 대학 도서관에 가면 너무 힘들었었습니다. 그 안에 들어가는 것조차 두려워할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1학년때 성적이 형편없었습니다. 그 이후에 군대를 갔다 온 다음에 나님의 계획을 깨닫고는 너무 공부가 고 싶어져서 그 두려움이 싹 사라졌습니다.

우리는 나님이 아니면 두려움을 극복할 수 없습니다. 지만 나님과 함께 한다면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모세도 나님을 믿음으로 바로 앞에 당당히 설 수 있었습니다. 늘 죽임을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있었지만 그는 보이지 않는 자를 바라보았습니다. 보이는 장면은 바로와 모세가 만나는 것이었지만 실제는 모세가 나님을 바라보면서 바로에게 나아가는 것이었습니다. 모세가 이러한 나님을 믿음에서 오는 담대함이 있었기 때문에 그는 온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되었습니다. 바로 우리에게 필요한 믿음인 것입니다.

세 번째는 그가 유월절과 피뿌리는 예를 정였다는 것입니다. 28절을 보십시오.
“28 믿음으로 유월절과 피 뿌리는 예를 정였으니 이는 장자를 멸는 자로 저희를 건드리지 않게 려한 것이며”

많은 사람들에게 나의 규칙을 정고 그 규칙을 지키게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장정만 60만명이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자와 노약자를 포함면 족히 100만은 되었을 것입니다. 그 많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동일한 규칙을 양을 잡고 그 양의 피를 문설주에 뿌리게 는 규칙을 어떻게 실천게 할 수 있었을까요? 그냥 대충 양의 피가 아니라 염소의 피로, 대충 문설주가 아니라 기둥에만 바르게 허락고 싶지는 않았을까요? 만약 모세가 그렇게 했더라면 그는 나님의 경고를 믿지 않는 사람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모세는 나님이 시키는 그대로 였습니다. 그래서 장자를 멸는 자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건드리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은 정말 유월절의 피뿌리는 예식을 믿으십니까? 꼭 그래야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십니까? 그것을 믿지 않는 사람들은 그 날이 지나고 났을 때 자신의 장자가 죽는 아픔을 맛보게 되었을 것입니다. 나님의 약속을 믿는 것은 그 약속을 믿지 않았을 때의 고통과 괴로움을 피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나님을 믿어야 나님의 라고 는 일을 해야 지 말라고 는 일을 지 말아야 는 것입니다. 그 말씀을 믿지 않았을 때의 고통을 피기 위해서 인 것입니다.

저는 어렸을 때 전기선을 만지지 말라는 말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게 뭐 크게 대단한 일인가 생각했었습니다. 그리고 놀이터에서 놀다가 설치되어 있던 전기선을 호기심으로 만져보았습니다. 그리고 평생 잊지 못할 고통을 겪었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높은 곳에서 뛰어 내리면 다친다는 말을 믿지 않았습니다. 다른 사람은 다 다쳐도 나는 안다칠 것 같았습니다. 결국 높은 곳에서 망토를 두르고 뛰다가 아랫 이빨이 두개 부러지는 고통을 겪었습니다. 지만 아직도 그 호기심은 끝난 것 같지 않습니다. 도대체 얼마나 더 다치고 깨지고 고통을 당해봐야 위험을 경고는 그 말을 듣게 될까요?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물질, 편안함, 즐거움, 사람들의 평판, 존경, 그리고 사회적인 위치는 모두 나님이 주신 축복입니다. 지만 그 나님을 잊어버리고 믿음으로 살지 않는다면 나님은 다 빼앗아 가십니다. 나님이 그것을 주신 이유는 그 유익을 통해 믿음을 갖고 모세처럼 살기를 원셨기 때문입니다. 모세같은 위대한 사람이 되기를 원시기 때문입니다. 나님이 주신 모든 축복과 유익을 계속 유지기 위해서 여러분, 부디 믿음을 가지십시오. 그리고 믿음으로 행십니다. 그러면 그 모든 축복과 유익은 더욱 넘쳐나고 더욱 이어질 것입니다.

함께 기도합시다. 우리도 모세처럼 믿음으로 고난을 피지 않으면서 더 큰 상을 바라보고, 믿음으로 아무도 두려워지 않고, 믿음으로 나님의 명령을 잘 지켜 행는 자가 되게 해달라고 함께 통성으로 기도합시다. 

*개요  {4서신서} <1적용> <2시점> [0복음-죽음]~[7실천-충성]
1. 나님은 우리가 믿음으로 여러 가지 일들을 잘 유지기를 원신다.
2. 모세는 믿음으로 고난을 자처였고 임금을 참았으며 유월절 규례를 정였다.
3. 나님은 우리가 믿음으로 고난을 받고 무서워 지 않으며 생명을 얻기를 원신다.
4. 우리는 믿음으로 받은 은혜를 놓치지 않고 계속 잘 유지는 자들이 되자.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752 84교육
40마27 구원은 사모는 자에게 주어진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7 18 5090
751 84교육
44행18 성경에 능게 되는 것의 유익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6 21 4535
750 84교육
44행 8 지도는 사람이 없으면 깨달을 수 없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8 17 4766
749 84교육
59약 1 자신의 얼굴만 보는 사람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2 20 5305
748 82연합
42눅 2;15-20 베들레헴까지 가서 보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8 23 4774
747 83성숙
42눅 1;13-17 백성을 예비기 위해 태어난 사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0 19 4379
746 83성숙
46고전 2;1-5 복음 이외에는 아무 것도 전지 않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7 21 4774
745 83성숙
46고전 1;21-29 나님앞에서 자랑지 못신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24 22 4930
744 83성숙
19시119;97-112 말씀을 읽는 자가 그것을 받아들이는 방법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5 20 4965
743 83성숙
59약 2;21-26 믿는 마음은 행동으로 나타난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5 20 5080
83성숙
58히11;24-28 우리가 믿음으로 해야 는 일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02 19 4710
741 83성숙
19시19;7-14 여호와의 말씀을 묵상해야 는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3 20 5332
740 83성숙
43요 5;36-40 우리는 성경을 통해서 예수님을 알게 된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7 20 5054
739 83성숙
45롬 1;14-17 과연 복음이란 무엇인가?_c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7 16 4458
738 82연합
43요11;33-40 우리를 사랑셨기에 눈물을 흘리신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7 22 4971
737 82연합
44행17;28-31를 공의로 심판할 날을 작정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4 21 4578
736 82연합
44행15;6-11 어찌나님을 시험겠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0 20 4589
735 82연합
44행10;36-46 말씀들을 때에 성령이 내려오시니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6 21 4949
734 82연합
4민14;1-10 이스라엘은 왜 가지 않았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18 4684
733 82연합
44행11;22-30 안디옥의 제자들이 유대형제들에게 보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21 4878
732 82연합
51골 2;13-15 우리의 모든 죄를 사시고 승리셨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16 5105
731 82연합
45롬16;1-7 함께 수고고 함께 고생한 사람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2 19 5272
730 82연합
44행 4;32-37 자기 재물을 자기 것이라고 는 자들이 없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2 19 4987
729 82연합
40마28;16-20 주님이 주신 위대한 명령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2 16 4973
728 82연합
42눅23;42-43 오늘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8 20 5355
727 81훈련
49엡 4;25-32 부부의 성경적인 의사소통법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8 19 5561
726 81훈련
1창2;24 성경적인 결혼생활을 위해 할 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8 21 5370
725 81훈련
1창 2;18-24 결혼에 관한 성경적 원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9 18 4846
724 81훈련
11;27-28 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얻은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31 19 5129
723 81훈련
59약 1;13-18 죄의 악순환과 의의 선순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21 17 4885
722 81훈련
47고후10;3-6 견고한 진을 파는 강력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30 19 5411
721 35죄책
1창 3;4-7 죄악의 시작, 욕구의 시작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30 19 4676
720 54용서
30암 4; 4-8 언제나 나님께 돌아와야 는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30 0 2342
719 51계획
30암 3; 1-7 나님께서 경고시는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23 0 1599
718 56충만
30암 2; 6-12 예언지 못던 사람들의 소망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16 0 1492
717 54용서
30암 2; 1-5 세상의 죄와 유다의 죄의 차이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09 1 1632
716 71충성
30암 1; 1-5 세상에 대한 여호와의 소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02 1 1757
715 56충만
29욜 2; 10-14 여호와의 날의 두려움과 기뻐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25 1 1575
714 56충만
29욜 1; 15-20 슬퍼며 주께 부르짖는 사람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18 2 1607
713 55동행
29욜 1; 11-14 어려움을 나님 안에서 해결는 과정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11 2 1792
712 56충만
29욜 1; 1-10 삶의 어려움 속에서 나님을 생각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04 1 3345
711 54용서
28호 3; 1-5 여호와를 경외여 그 은총으로 나아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28 1 1631
710 56충만
28호 2; 19-23 진실함으로 인해 여호와를 알게 되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21 1 1448
709 55동행
28호 2; 4-8 자신이 사랑는 자를 따르는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4 1 1500
708 55동행
28호 1; 6-11 호세아의 가정을 변화시키는 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8 2 1631
707 51계획
28호 1; 1-6 이스라엘이 이스르엘이 되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30 1 1702
706 52능력
27단 2; 1-6 나님을 의지여 어려움의 시간을 극복한다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23 2 3004
705 55동행
58히 12; 1-5 부활의 주님을 생각면서 따라간다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16 1 3182
704 55동행
27단 1; 10-16 열흘 동안의 시험과 그 의미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9 1 1596
703 51계획
27단 1; 1-7 바벨론에서 나님 앞에 선 사람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2 1 203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