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속자(284)
  • 새글
  • 출석
  • |
  • 로그인
  • 회원가입
  • 검색

[55동행] 44행 2:42-47 결국 교회에서 하는 일들은 무엇인가?



Loading the player...




44행 2:42-47 결국 교회에서 는 일들은 무엇인가?_1


2011.6.26.주일오전, 교회의 의미, [5-6동행]

오늘 우리는 6월의 마지막 주일을 보내고 있습니다. 지난 6개월간 우리는 2011년 전반기에 교회에 모여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이번 6월 한달에는 교회의 의미를 생각나님의 말씀을 살펴보았습니다. 나님의 말씀은 교회의 근본이 무엇이며 교회의 시작이 무엇이며 교회의 과정이 무엇인가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성경 속에서 우리는 교회의 근본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무엇이 교회의 시작이었고 무엇이 교회의 과정이 되는지를 보았습니다.
이제 6월 마지막 주에 이르러서 교회의 의미를 생각해보는 마지막 시간으로 교회의 결과가 무엇인지 성경말씀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신앙고백의 근본 위에 교회가 세워졌고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교회가 시작되었으며 성도들이 교회에 모여 나님 아버지의 약속신 것을 간절히 기다리는 것이 교회의 과정이었다면 그로 인해서 나타난 교회의 열매는 무엇일까요? 과연 어떤 삶을 살게 되는 것일까요?

다른 예를 들어 이것을 설명해보겠습니다. 우리 교회는 정말 바닥에서부터 시작했습니다. 교회를 개척라는 부르심으로 저와 아내와 저의 큰 딸이 집에서 모여 교회를 시작했습니다. 얼마 뒤 나님의 은혜로 지 교회장소를 임대할 수 있었고 그 이후로 성도들이 조금씩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10명 내외로 모일때가 있었고 얼마 후엔 20명 내외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적게 모일 때 우리가 했던 것은 기다리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각자의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다렸고 그리고 교회의 목표가 이루어지기를 기다렸습니다. 그렇게 기다리면서 시간이 흘러 12년이 지났고 오늘까지 이르렀습니다. 지금 우리 교인은 애 어른 다 합해서 한 5,60명 정도 됩니다. 앞으로 이대로 시간이 더 흐르면 100명이 넘기도 겠지요. 100명이 넘으면 좀 빠르게 식구가 늘어난다고 합니다. 그러면 200명 300명 400명 이렇게 늘어나겠지요. 만약에 우리가 그렇게 못면 우리 다음에 교회에 오는 사람들이 그 일을 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교회도 1대, 2대, 3대 진행되는 것입니다. 당대에 다 되는 것이 아니구요.
그렇다면 그렇게 사람들이 모이면 무슨 일을 할까요? 100명이 되기를 간절히 바랬는데 100명이 되면 어떤 일을 우리가 고 있을까요?

오늘 우리가 읽은 성경말씀이 교회가 고 있을 일을 보여줍니다. 숫자가 적을 때에는 이런 모습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늘어나고 어느 정도 모습을 갖추게 될 때에 나타나는 모습은 바로 이 모습입니다.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러할 교회의 모습을 함께 살펴 봅시다.
“42 저희가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며 떡을 떼며 기도기를 전혀 힘쓰니라”

100명을 넘어설 때 아니 그 이전에도 그렇겠지만 교회의 최종적인 결과적인 모습은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서로 교제며, 떡을 떼며, 기도기를 전혀 힘쓰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교회가 최종적으로 나타내는 결과적인 모습입니다. 어쩌면 너무 당연해 보이는 이런 일들을 이제 다시 생각는 이유는 교회에서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지 않음을 안타깝게 여기고 우리의 미래의 모습 속에서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기를 간절히 바라기 때문입니다.

한번 생각해 봅시다. 우리는 100명을 넘어가고 난 다음에 사도의 가르침을 받게 되는 때를 바라고 있는데 100명이 넘은 교회들은 정말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있을까요? 신기게도 그렇습니다. 그 교회가 이상한 교회가 아니라면 100명이 넘는 교회는 정말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있습니다. 가르침을 받는데 그 가르침을 사도적인 권위로 받아들입니다. 그래서 그 가르침을 받고 그대로 살아가려고 애를 쓰고 지키려고 노력을 는 것입니다.

저는 어떤 교회에서 전도를 면서 이렇게 교회를 소개더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우리 교회에 한번 와보세요. 우리 목사님은 은혜가 뚝뚝 떨어져요.”
어쩌면 정말 그 목사님에게서 그렇게 은혜가 뚝뚝 떨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그렇게 목사님을 생각는 마음 속에서 저는 생각합니다. ‘아,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있구나’ 지만 때로 어떤 교인을 만나서 다니는 교회가 어디냐고 담임목사님 성함이 무엇이냐고 물어볼 때 제대로 대답을 지 못는 분들을 보면 ‘아,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있지 못구나’라고 생각합니다.

나님은 나님의 가르침을 받는다고 지 않으시고 사도의 가르침을 받는다고 셨을까요? 사도의 가르침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이부분은 좀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차라리 나님의 가르침이라고 했으면 부담감이 적었을 텐데 사도의 가르침이라고 해 놓으니 꼼짝없이 사도의 가르침에 순종해야만 할 판이 아닙니까? 그렇다면 왜 나님은 ‘사도의 가르침’이라고 셨을까요?

오늘날 ‘사도의 가르침’은 나님의 가르침, 혹은 예수님의 가르침과 경쟁지 않습니다. 오히려 사도의 가르침은 세상의 가르침, 친구의 가르침, 가족의 가르침, 혹은 자신의 가르침과 경쟁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님은 사도의 가르침을 통해 이 시대에 올바르게 나님을 바라볼 수 있게 신 것입니다. 사도의 가르침을 통해서만이 세상의 가르침을 극복기 때문입니다. 친구의 가르침을 극복합니다. 가족의 가르침을 극복고 자신의 가르침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그 중에 가장 경쟁는 상대는 바로 자신의 가르침입니다.
이 시대는 정보제공에 있어서 매우 커다란 진보와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성도들은 언제든지 원는 목사님의 설교를 골라 들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가장 새로운 성경공부 교재를 접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최신의 성경번역본을 읽을 수 있고 언제든지 신앙생활에 대한 여러가지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사도의 가르침이 아니라 자신의 가르침이 생겨납니다. 내가 보기엔 옳지 않고 내가 보기엔 옳고 내가 보기엔 맞고 내가 보기엔 맞지 않는 자신만의 기준이 생겨납니다. 그 결과 사도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입니다.

세상에서 내가 보기에 옳은 곳에 가고 내가 보기에 옳은 것을 접며 내가 보기에 옳은 것을 행다 보면 결국은 자기 자신이 기준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나님은 그렇지 말씀시지 않습니다. 나님은 나님 보시기에 옳은 곳에 가고 나님 보시기에 옳은 것을 접나님 보시기에 옳은 일을 행할 때 축복십니다. 그리고 우리 인간의 기준에 따른 것은 전부 우상숭배라고 말십니다. 이것을 구별해 주는 사람이 사도입니다. 나님께 향해서 가장 옳은 것이 무엇인지를 말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사도인 것입니다. 어떤 이익이나 욕심에 이끌리지 않고 가장 공정나님께서 원시는 것이 무엇인가를 말해줄 수 있는 사람, 그가 사도이고 그 가르침을 받을 때에만 나님께 온전히 나아갈 수 있습니다.

사도의 가르침은 우리로 여금 주님께 나아가게 만듭니다. 자신의 가르침은 자신의 고 싶은 것을 이루게 해서 결국은 나님과 멀어지게 지만 사도의 가르침은 자신이 원는 것을 버리고 나님의 원시는 일을 면서 나님께로 나아가게 합니다. 나님은 원시는 것이 있습니다. 나님이 원시는 것을 해야 나님과 가까와질 수 있습니다. 나님이 싫어시는 일을 계속 면 절대로 나님과 가까와질 수 없습니다. 왜냐나님은 나님의 싫어시는 일에 대해서 분노시고 진노시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비록 사도의 가르침을 싫어더라도 그 가르침을 반드시 받아야만 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때로 의사의 가르침을 싫어더라도, 때로 교사의 가르침을 싫어더라도, 때로 경찰의 가르침을 싫어더라도, 때로 변호사의 가르침을 싫어더라도, 그것을 따라야 는 이유는 그래야 무엇인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병이 낫고 그래야 공부를 잘고 그래야 처벌을 면고 그래야 재판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사도의 가르침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야 나님과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그 가르침을 받지 않으면 나님과 멀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사도의 가르침이 무엇이길래 그로 인해서 나님과 가까워지는 것일까요? 사도들은 무엇을 가르치는 사람들입니까? 정말 사도의 가르침을 따르면 뭔가 변화가 일어나는 것일까요?

방금 읽은 구절을 다시 한번 읽어 봅시다.
“42 저희가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며 떡을 떼며 기도기를 전혀 힘쓰니라”

예루살렘 교인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서 한 일은 서로 교제는 일이었습니다. 그 당시 교회에 모인 많은 사람들 속에는 제자들이 모였던 것보다 더 많은 다양한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12명의 제자들 속에도 어부와 세리와 정치가와 운동권이 있었던 것처럼 교회에 모인 더 많은 사람들 속에는 유대인들과 헬라인들과 헬라파 유대인들이 있었습니다. 또 그 속에는 종이나 자유자나 지배계층이나 피지배계층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혈연과 지연과 계급별로 서로 연관이 있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바로 혈연과 지연과 계급별로 서로 반목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나님이 원신 것은 서로 교제를 나누는 일이었습니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통해 서로 어울리게 되었던 것입니다.
“44 믿는 사람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고”

나님이 원시는 것은 그저 교제를 나누는 수준이 아니었습니다. 그냥 인사만 나누고 헤어지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서로 떡을 떼기를 원셨습니다. 예수님과 제자들이 모여서 떡을 떼었던 것 처럼 말이지요. 예수님과 제자들이 이루었던 참된 사랑의 공동체를 교회 속에서 더 확장해서 이루게 되기를 나님은 원셨습니다. 그것을 가능는 것이 바로 사도의 가르침입니다. 사도는 모든 성도들이 서로 교제도록 서로 떡을 떼며 삶을 나누도록 격려합니다. 또한 독려고 권면합니다. 혼자서 는 은밀한 신앙생활은 나님을 올바로 바라보지 못합니다. 자신만의 나님을 만들어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신앙생활는지 어떻게 나님을 바라보는지 어떻게 나님을 믿는지를 볼 때에 비로소 올바른 관점을 가지고 나님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45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 주고”

자신에게 주신 나님의 은혜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감사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그 사람이 은혜가 절박게 필요한 때임을 알게 된다면 그를 위해 기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사람이 바라보는 나님의 은혜를 부러워게 됩니다. 그래서 더욱 힘을 내어서 주님께 의지게 됩니다. 자신만의 세계 속에서 나님을 본다면 그 시각은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지만 다른 사람들과 떡을 떼면서 나님을 바라볼 때에 그 때에 신앙은 더욱 온전게 변합니다.

그래서 서로 떡을 떼는 삶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은 나님께 나아가는 것입니다. 나님께 기도로 나아갑니다. 예루살렘 성도들도 그랬습니다. 그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고 서로 떡을 떼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이 한 일은 기도는 일이었습니다.
“46 날마다 마음을 같이 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47 나님을 찬미며”

그들이 기도면서 성전에 모였습니다. 기도면서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었습니다. 그로 인해 그들은 교회가 이루어는 온전한 모습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바로 나님을 찬미는 것이었습니다. 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었습니다. 교회의 최종적인 결과는 이렇게 나님을 찬미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고 그럴 때 사람들도 나님의 영광을 보며 성도들을 칭찬며 더욱 나님의 자녀, 나님의 백성 되기를 원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제도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길 소망해봅니다. 우리가 그냥 명수만 채워달라고 기도고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그런 교회가 되게 해달라고 기다리며 기도는 것입니다. 예루살렘 교회의 모습처럼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게 되기를 바랍니다. 서로 떡을 떼면서 더욱 기도게 되기를 바랍니다. 그로 인해서 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교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런 결과가 나타나기를 소원합니다.

그렇게 할 때 그속에 여러분 각자의 기도응답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기도고 간구는 것은 이러한 교회의 삶과 무관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보고 듣는 것, 여러분이 움직이게 되는 것, 여러분이 행게 되는 것에 의해서 여러분은 점차 각자가 원고 기다리고 바라던 바에 가까이 나아가게 됩니다. 나님이 약속신 모든 것이 이러한 삶 가운데 있습니다. 의사의 말을 따르면 병이 낫게 되는 것처럼, 우리가 나님이 행라고 신 것을 잘 행할 때, 우리는 육신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혼의 문제도 함께 해결될 수 있습니다.

장사를 한 여자 성도가 목사를 찾아와 가계가 안된다고 소연을 했다고 합니다. 그것보다도 더 힘든 것은 주위의 사람들이 그녀에게 왜 나님이 살아계시다면 장사가 안 되도록 는가 며 비웃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 여자 성도는 십일조나 헌금 등을 빠짐없이 했고 주일성수도 착실히 한다고 했습니다.
목사는 그녀를 앞에 두고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나님, 장사가 안되고 사람들이 비웃으니 감사합니다."
여성도는 의아한 듯 목사를 보더니 혹시 기도를 잘못한 것 아닌가로 물었습니다. 그러자 목사는 나님께서 범사에 감사라고 셨으니 돌아가서 감사기도를 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갔던 그녀가 몇 일 후에 얼음판에서 미끄러졌다며 팔에 붕대를 칭칭 감고 나타났습니다.
그때도 목사는 "주님, 팔이 부러졌으니 감사합니다."라고 했고 그녀는 목사에게 이제 그런 기도는 지 말라고 했습니다. 그것이 저주의 기도같아서 팔 부러진 것을 감사면 다음 번에는 자기가 죽을지도 모른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는 시무룩해져서 돌아갔다. 얼마 있다가 지난번 보다 훨씬 나빠진 얼굴로 와서는 가게를 팔았다고 했습니다. 이번에도 목사는 감사기도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때 가게를 치우고 업종을 바꿔 다른 장사를 시작했던 그녀가 루는 싱글벙글한 얼굴로 목사를 찾아왔는데 그녀의 얘기인 즉 장사가 더 잘되는 것은 물론이요,그전에 자신이 던 그 점포자리가 도시계획에 걸려 헐리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정부에서 보상금을 주지만 점포 값에 비면 형편없을 것이었지만 그녀는 일찍 점포를 팔았기에 손해를 보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그 얘기를 고 그제사 그녀는 감사의 기도를 며 자신의 어리석음으로 나님의 인도심을 알지 못했노라고 고백했다는 것입니다.

나님의 인도심을 받아 교제를 며 떡을 떼고 그리고 기도를 할 때 여러분에 대한 나님의 뜻이 이루어집니다. 나님의 뜻은 그렇게 순종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많은 사람들이 했고 그일을 통해 더욱 좋은 상황이 이루어짐을 지금도 경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인도심이 교회 속에서 사도의 가르침을 받을 때 나타납니다. 그 뜻에 따를 때 이루어집니다. 여러분들도 이러한 은혜를 누리지 않으시겠습니까? 사도의 가르침을 통해 서로 교제면서 서로 떡을 떼면서 기도나님의 은혜로 삶속에 채우보시지 않으시겠습니까?

지난 6개월의 삶속에서 한결같이 인도해주신 주님의 은혜를 기억며 다가오는 후반기에도 나님의 은혜를 사모며 나아가는 우리 모두가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더욱 사도적인 가르침을 통해 우리가 서로 교제게 되고 떡을 떼게 되어서 더욱 기도게 되는 저와 여러분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소원교회
1.신앙구조
2.성경적용
3.마음변화
4.변화방법
5.신앙고민

주일 성경공부 교재
제자 성경공부 교재
평일성경공부 교재1
온라인 상담전도

소원교회 주일오전 예배실황
소원교회 유튜브 설교채널
소원교회 네이버 블로그
소원교회 네이버 전도답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03-10 (월) 22:19 10년전
링크수정
주소 추천 0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52 56충만
7삿16:1-6 당신의 큰 힘의 근원은 무엇인가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0 19 10019
151 56충만
2출 4:10-17 가라 내가 너에게 형과 지팡이를 주노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6 21 7612
150 54용서
45롬 3:23-26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 제물이 되신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6 24 7447
149 53희생
26겔33:12~20 은혜를 이루기 위해서 모든 것을 버리시는 예수님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5 25 7581
148 51계획
딤후 2:20-26 선한 일에 예비함이 되는 사람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5 22 8971
55동행
44행 2:42-47 결국 교회에서 는 일들은 무엇인가?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4 17 10641
146 55동행
44행 1:3-5 아버지의 약속신 것을 교회에서 기다리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5 17 8443
145 53희생
40마27:50-54 예수님의 죽으심으로 교회가 시작됨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18 25 8064
144 52능력
40마16: 13-18 내가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이기지 못리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7 23 7863
143 51계획
43요 1:1-13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바 되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29 11 8076
142 53희생
43요19:25-30 진정한 어버이의 모습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29 15 8066
141 1영역
4110:13-16 어린 아이와 같은 자들을 용납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06 12 7255
140 55동행
43눅24;33-43 부활신 주님과 함께 먹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27 13 9880
139 53희생
43눅22:63-71 네가 나님의 아들이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8 21 8201
138 53희생
43눅23:39-46 당신의 나라에서 나를 기억소서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0 19 8348
137 55동행
6수 6:8-14 아무 말도 지 말고 성을 돌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7 21 8418
136 53희생
6수 3;7-13 이스라엘을 구원시는 나님의 희생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0 18 8246
135 56충만
6수 1:10-15 나님께 순종고 이 땅을 차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9 12 7933
134 52능력
6수 1: 5-9 내가 맹세여 준 땅을 얻게 리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7 21 8047
133 54용서
511:20-23 나님과 화목케 되기를 노력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3 11 8372
132 53희생
511; 18-20 교회의 머리로서 희생시는 그리스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6 21 8273
131 51계획
511;15-20 만물이 그 안에 함께 존재한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6 24 7999
130 54용서
511;12-20 우리를 아들의 나라로 인도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8 17 8363
129 51계획
1창35; 1-7 야곱이 지킨 세 가지 창조의 명령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2 17 8049
128 51계획
1창 6; 17-20 방주를 세우도록 부르심을 받은 노아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8 17 9206
127 51계획
1창 4;9-15 죄인의 죽임을 면케 시는 나님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1 18 8935
126 51계획
1창 3;16-17 창조명령을 이루며 살지 못는 이유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1 13 9376
125 51계획
11; 27-28 창조의 나님이 주신 명령 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12 18 10271
124 6결심
43요 1;1-8 빛과 그 빛을 증거러 온 사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04 14 7451
123 5은혜
42눅 2;1-14 늘에서는 영광, 땅에서는 평화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8 15 7948
122 7실천
40마 2;1-8 왜 헤롯은 동방박사들을 따라가지 않았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0 15 7734
121 5은혜
43요14;6-11 예수님은 나님을 나타내신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0 22 7576
120 6결심
44행16; 29-34 나와 내집이 구원을 얻은 증거는 무엇인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7 10 7731
119 6결심
6수 5;10-15 가나안 땅의 열매를 먹음의 의미가 무엇인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7 18 8314
118 5은혜
42눅15;20-24 구원은 나님께 돌아옴으로 얻는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24 17 7126
117 5은혜
47고후 6;1-2 구원은 나의 때가 아니라 나님의 때이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5 9 7927
116 6결심
58히 11;33-38 믿음으로 볼 때 과거의 삶은 어떠였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06 19 6950
115 6결심
58히 11; 7-12 믿음으로 할 수 있는 일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3 17 7506
114 7실천
41막 5;25-34 많은 무리 중에서 손을 내어 밀은 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3 14 7705
113 7실천
41막 9;19-24 믿음이 없는 세대가 믿게 되는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7 12 7418
112 7실천
45롬 5;5-6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지 않는 이유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1 15 7754
111 35죄책
45롬 1;21-25 나님을 버리는 자들과 나님이 버리시는 자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02 21 7571
110 5은혜
44행 2;4-11 성령충만과 복음전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7 12 6992
109 8사역
44행17;22-27 나님은 멀리 계시지 않는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4 14 7963
108 5은혜
11왕상17;17-21 내죄를 생각나게 심입니까?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2 18 8516
107 6결심
44행11;12-18 내가 누구관대 나님을 막겠느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0 20 7387
106 8사역
44행10;24-35 무슨 연유로 그들은 만나게 되었는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6 15 7297
105 5은혜
44행10;17-23 의심치 말고 함께 가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13 7267
104 5은혜
44행10;9-16 네가 속되다 지 말라 더라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9 7649
103 5은혜
50빌 3;18-21 우리를 자기 몸의 형체로 변시는 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23 778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