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히3;1-6 하나님의 집에 충성하는 자들_1
2014.7.6.주.주일오전
*개요: 71충성, 6서신서, 3분석,
1 그러므로 함께 하늘의 부르심을 입은 거룩한 형제들아 우리의 믿는 도리의 사도시며 대제사장이신 예수를 깊이 생각하라
2 저가 자기를 세우신 이에게 충성하시기를 모세가 하나님의 온 집에서 한 것과 같으니
3 저는 모세보다 더욱 영광을 받을만한 것이 마치 집 지은 자가 그 집보다 더욱 존귀함 같으니라
4 집마다 지은 이가 있으니 만물을 지으신 이는 하나님이시라
5 또한 모세는 장래에 말할 것을 증거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온집에서 사환으로 충성하였고
6 그리스도는 그의 집 맡은 아들로 충성하였으니 우리가 소망의 담대함과 자랑을 끝까지 견고히 잡으면 그의 집이라
I. 적용적 해석
1.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원리’는 무엇입니까?
/5절, 모세가 자기 뜻이 강한 사람이었는데 자신의 뜻을 꺾고 하나님의 집에 충성했던 것을 본받아야겠다.
/1절, 예수님의 마음을 깊이 생각하라는 것이 중요하게 느껴졌다.
/2절, 아들 예수님도 아버지 하나님께 충성을 하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음,
/6절, 소망의 담대함과 자랑을 끝까지 잡아야겠다,
/6절, 우리는 하나님이 만드신 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음,
/2절, 우리는 나를 세우신 이에게 충성해야한다,
2.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예화’는 무엇입니까?
/5절, 모세가 자기 뜻이 강한 사람이었는데 자신의 뜻을 꺾고 하나님의 집에 충성했던 것을 본받아야겠다.-> 모세의 인생을 보면 40년 이후에 결혼을 했고 광야생활을 하면서 힘이 빠졌는데 80세에 부르심을 받은 것을 보면서 뜻이 꺾이는 것을 알게 됨, 모세는 자신의 신분보다 뿌리를 더 중요하게 여겼음, 그래서 지도자로 부르시는 것을 알게 되었음, -> 요나도 싫다고 도망갔지만 회개하고 하나님의 하시는 일에 순종했을 때 잘 할 수 있었음,
/1절, 예수님의 마음을 깊이 생각하라는 것이 중요하게 느껴졌다. -> 십자군 전쟁에서 힘으로 성지탈환을 하려고 했을 때 예수님의 뜻은 아니었던 것 같음, -> 감을 오래 두었더니 썩어버렸음,
/2절, 아들 예수님도 아버지 하나님께 충성을 하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음, ->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 주인공도 왕의 핏줄이고 높은 위치였는데 자신이 솔선해서 악을 물리치는 것을 보면서 그러한 선을 보는 다른 사람들도 합세하면서 해피엔딩이 되었음, -> 요셉이 애굽의 총리가 되고 자신을 노예로 팔았던 형제들을 보았는데 감정을 떨치고 형제를 도와주는 사람이 되었음, 요셉이 하나님의 뜻을 이루게 됨,
/6절, 소망의 담대함과 자랑을 끝까지 잡아야겠다, -> 스데반 집사님은 마지막 유대인에게 돌을 맞는 상황에서도 담대하게 복음을 증거하면서 평안하게 죽음을 맞이함 -> 사도 바울도 예루살렘에 가면 잡힐 것이라는 예언 속에서도 헌신과 수고를 끝까지 다짐하는 모습, -> 베드로도 끝까지 충성해서 순교를 받아들임, -> 언더우드 같은 선교사님들도 끝까지 한국에 남아서 복음을 증거함
/6절, 우리는 하나님이 만드신 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음, -> 뜨개질이 어떤 형상의 목표를 향해서 준비되는데 그것이 목표를 이루게 됨, 예수님이 뜨개질을 하시고 우리는 실이다, -> 이세돌이 알파고를 이길 때 사용한 놀라운 한 수로 집을 지키고 승리하게 됨, -> 하나님이 거하시는 집이 되는 성도, 성전의 개념으로서의 성도의 삶,
/2절, 우리는 나를 세우신 이에게 충성해야한다, -> 열두 제자들이 예수님께 충성했던 모습, 다윗이 사울을 죽일 기회가 있어도 하나님께 충성하기 위해서 사울을 죽이지 않음, ->
3.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방법’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집에 충성하는 것은 하나님의 자녀 된 우리들이 하나님을 귀하게 여기는 것을 계속 끝까지 유지하는 것이다,
4.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사례’는 무엇입니까?
/언더우드 같은 선교사님들도 끝까지 한국에 남아서 복음을 증거함
/강영우 박사님, 시력을 잃었으나 서울 맹학교에서 복음을 받아들이면서 사모님을 만나고 귀한 일을 하게 되었음,
/이재서 총장님, 어려움을 딛고 고난을 이겨내서 훌륭한 사역을 감당하게 됨,
*소감 및 적용
/나를 세우신 이에게 충성한다는 것이 어려움이 있지만 집이 되는 것이 소망인데 그래도 어렵다.
/우리가 하나님이 거하시는 집이라는 것이 감사함, 학교에서 훈련받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하나님의 의미가 있으리라고 생각이 됨,
/이세돌의 한 수 예화가 와 닿았고 풀어야 하는 난제가 많은데 충성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원리를 기억하며 이겨내야겠다.
/하나님에 대한 충성의 근원이 하나님과의 친밀함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됨, 그런 친밀감을 형성해야겠다,
/끝을 알 수 없는 긴 터널을 가고 있는 것 같음, 결과는 모르겠지만 최선을 다해서 살아보려고 애를 써야겠다,
/고난으로 순종을 배우신 예수님을 충성으로 바꿔서 생각도 됨, 현실을 보면서 상황의 흐름 속에서 본질적인 의문이 들기도 하는데 예수님을 깊이 생각하면서 살아야겠다,
II. 관점적 해석
1.본문을 통해서 ‘자신’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2.본문을 통해서 ‘타인’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3.본문을 통해서 ‘하나님’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4.본문을 통해서 ‘사탄’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소감 및 적용
III. 도덕적 해석
1. 본문에서 나타난 ‘선 주도’에 해당하는 내용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 본문에서 나타난 ‘선 동참’에 해당하는 내용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본문에서 나타난 ‘중립’에 해당하는 내용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4. 본문에서 나타난 ‘악 동참/주도’에 해당하는 내용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소감 및 적용
IV. 극본적 해석
1.본문 중에서 ‘발단’에 해당하는 부분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본문 중에서 ‘전개’에 해당하는 부분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본문 중에서 ‘절정’에 해당하는 부분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4.본문 중에서 ‘결말’에 해당하는 부분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소감 및 적용
V. 분석적 해석
1.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단어’와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어구’와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문장’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4.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문단’과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소감 및 적용
VI. 통찰적 해석
1. 본문에서 ‘이해’가 있었어야 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2. 본문에서 '이해'가 안 되는 ‘사건’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3. 본문에서 '사건' 속에서 나타난 ‘감정’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4. 본문에서 '감정' 속에서 나타난 ‘신체’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소감 및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