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6:10-15] 10스데반이 지혜와 성령으로 말함을 저희가 능히 당치 못하여 11사람들을 가르쳐 말시키되 이 사람이 모세와 및 하나님을 모독하는 말하는 것을 우리가 들었노라 하게 하고 12백성과 장로와 서기관들을 충동시켜 와서 잡아 가지고 공회에 이르러 13거짓 증인들을 세우니 가로되 `이 사람이 이 거룩한 곳과 율법을 거스려 말하기를 마지 아니하는도다 14그의 말에 이 나사렛 예수가 이 곳을 헐고 또 모세가 우리에게 전하여 준 규례를 고치겠다 함을 우리가 들었노라' 하거늘 15공회 중에 앉은 사람들이 다 스데반을 주목하여 보니 그 얼굴이 천사의 얼굴과 같더라
+ 스데반은 성령과 동행하였을 때에 그의 얼굴은 천사와 같았고 담대하였으며 용기가 있었습니다. 성령께서는 자신을 의지하는 자들을 이렇게 담대하게 하십니다. 그것은 모든 상황에서 어떠한 형편에서든지 다 적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바라볼 때 비로소 담대함을 가질 수 있습니다.
1) 당신은 스데반이 죽음을 목전에 두고서도 성령님과 동행을 하였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2) 사람들은 하나님과 함께 할 때 생기는 담대함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할까요?
3) 하나님께서는 왜 우리가 어떤 상황에서든지 겁먹지 않고 담대하게 서기를 원하실까요?
4) 사탄은 성도들이 늘 두려워하면서 낙심하게 만들게 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까요?
I. 적용적 해석 1.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원리’는 무엇입니까? 2.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예화’는 무엇입니까? 3.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방법’은 무엇입니까? 4.본문을 통해서 알게 된 ‘사례’는 무엇입니까?
*소감과 적용
II. 관점적 해석 1.본문을 통해서 ‘자신’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2.본문을 통해서 ‘타인’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3.본문을 통해서 ‘하나님’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4.본문을 통해서 ‘사탄’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무엇입니까?
*소감과 적용
III. 도덕적 해석 1. 본문을 통해서 ‘선 주도’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2. 본문을 통해서 ‘선 동참’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3. 본문을 통해서 ‘중립’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4. 본문을 통해서 ‘악 동참/주도’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소감과 적용
IV. 극본적 해석 1.본문 속에서 ‘발단’에 해당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2.본문 속에서 ‘전개’에 해당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3.본문 속에서 ‘절정’에 해당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4.본문 속에서 ‘결말’에 해당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소감과 적용
V. 분석적 해석 1.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단어’는 무엇입니까? 2.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어구’는 무엇입니까? 3.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문장’은 무엇입니까? 4.본문 속에서 가장 와닿은 ‘문단’은 무엇입니까?
*소감과 적용
VI. 통찰적 해석 1. 본문 속에서 ‘이해’가 있었어야 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2. 본문 속에서 '이해'가 안 되는 ‘사건’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3. 본문 속에서 '사건' 속에서 나타난 ‘감정’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4. 본문 속에서 '감정' 속에서 나타난 ‘신체’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